경찰이 제주 모 중학교 교사 사망사건과 관련해 민원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진 학생 가족과 학교 관계자를 상대로 입건 전 조사(내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제주경찰청은 교사 사망 다음 날인 지난 23일 동부경찰서장을 중심으로 전담팀을 구성해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숨진 교사가 악성 민원에 시달렸다고 알려짐에 따라 민원을 제기한 학생 가족과 동료 교사 등 관계자를 상대로 1차 조사를 마쳤다.
현재 해당 가족의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전자증거수집) 작업이 진행 중이다.
앞으로 숨진 교사의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아직 유가족으로부터 사망 교사의 휴대전화는 전달받지 못한 상태다.
경찰은 학생 가족과 숨진 교사가 주고 받은 문자와 통화 내용 등이 확보되는 대로 민원인의 행위가 협박 또는 스토킹 행위에 해당하는지 등을 살필 예정이다.
해당 학교장에 대해서는 민원 발생 시 학교 책임자로서 매뉴얼에 따른 역할을 제대로 이행했는지 여부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신속하게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사건 관계자의 심리적 압박이 큰 만큼 2차 피해가 이뤄지지 않도록 관련 사실의 유포를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백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이날 제주를 찾았다.
초등교사 출신인 백 의원은 유가족을 면담한 뒤 제주도교육청에 마련된 분향소에서 취재진을 만났다.
백 의원은 “학생 지도 과정에서 고통이 있던 것으로 전해들었다”며 “민원을 교사 개인이 아닌 시스템이 대응하도록 학교민원처리지원법을 국회에서 통과시켰는데 시행 직전 이 같은 일이 생겼다”며 안타까워했다.
백 의원은 김광수 제주도교육감과의 면담에서 “숨진 교사가 순직 인정을 받고, 민원대응시스템이 학교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한국교총과 제주교총은 이날 3시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제주 교사 사망 진상규명 및 교권 보호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교총은 교육 당국과 수사기관에 철저한 조사·수사와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서이초 교사 순직 사건 이후 마련된 학교민원대응 시스템에 허점은 없는지 후속 대책 마련을 주문할 예정이다.
기자회견에는 강주호 교총회장 등 회장단과 서영삼 제주교총 회장 및 소속 회원 교사, 오준영 전국시도교총회장협의회장, 조재범 교총 교사권익위원장 등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회견 후에는 제주교육청에 마련된 분향소 조문 후 김광수 교육감과 만난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