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순방길 동행을 거부해 그를 화나게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일간지 뉴욕 타임스(NYT)는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백악관이 트럼프의 지난 13~16일 중동 3개국 순방을 앞두고 여러 미국 기업 CEO에게 동행을 권유했지만 쿡은 이를 거절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이런 선택을 한 쿡을 순방 중 여러 차례 비난했다. 그는 특히 여러 CEO가 참석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행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칭찬하면서 “쿡은 여기 없지만 당신은 있다”라고 직접 언급했다. 카타르에서도 “쿡과 약간 문제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이후 애플이 제조하는 스마트폰인 아이폰을 콕 집어 고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는 지난 23일 자신이 소유한 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나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쿡에게 오래전에 알린 바 있다. 그렇지 않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NYT는 지난 8년간 트럼프에게 가장 사랑받은 CEO로 꼽혔던 쿡이 지금은 백악관의 최대 표적 중 한 명이 됐다고 지적했다.
애플은 올해 들어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압박 외에도 지난달 자사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앱스토어’ 결제 수수료 관련 소송에서 패소했다. 쿡과 불화로 2019년 회사를 떠난 유명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가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운영하는 오픈AI에 합류, AI 기기 개발을 본격화하며 애플을 위협하고 있다. 애플은 지난 3월 AI 음성 비서 ‘시리’의 핵심 기능의 일부 출시를 연기한다고 밝혀 AI 경쟁력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휩싸인 상태다.
다만 다른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쿡이 지난주 백악관에 여러 차례 전화하고 회의도 했다면서 트럼프와 관계를 다지기 위해 새로운 제안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난 23일 보도했다. 애플과 백악관은 쿡의 트럼프 순방 거부로 인한 갈등설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