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버스 파업 기간 등교·출근 1시간 조정 요청
시내버스노조 28일 파업 예고
노사, 27일 자율교섭 진행
서울시는 시내버스 노동조합의 예고대로 오는 28일 파업이 진행될 경우 총력 대응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시는 파업이 최소 3일 동안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시는 지난달 수립해놓은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을 기반으로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할 계획이다. 우선 지하철은 1일 모두 합쳐 173회를 증회 운행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도 다음 날 오전 2시까지 운행 시간을 늘릴 예정이다.
25개 자치구에서는 주요 거점 및 거주지에서 지하철역까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117개 노선 625대를 운영할 계획이다. 셔틀버스 노선 정보는 시 및 자치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시는 차고지별로 공무원을 보내 노조가 위법한 방법으로 조업을 방해할 경우 경찰과 협조해 신속 조치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예년과 달리 전국 단위의 동시 파업이 예고돼 있다. 인천·경기 지역 버스도 파업에 참여할 경우 수도권 버스 운행이 전반적으로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시는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등에 파업 기간 중 등교 및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시 버스노동조합이 속한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조연맹은 오는 27일까지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28일 첫차부터 전국 동시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노사는 27일 자율교섭을 진행할 예정이지만 통상임금 문제에 대한 이견이 아직까지는 좁혀지지 않는 상황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