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26일 정례 브리핑에서 경호처로부터 임의제출받은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정황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즉각 증거인멸 혐의와 관련한 수사를 개시했으나 아직 구체적인 피의자를 특정한 단계는 아니라고 했다.
원격 삭제가 이뤄진 시점은 비상계엄 사태 3일 뒤인 12월 6일이다. 윤 전 대통령이 홍 전 차장을 경질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던 시점이다.
윤 전 대통령, 홍 전 차장, 김 전 처장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전부 원격 삭제된 만큼 경찰은 현재 관련 기록을 복구하기 위한 포렌식을 진행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서버를 건드린 건 아니고 원격으로 일반 휴대전화로 치면 초기화를 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삭제를 실행한 건 비화폰을 관리하던 경호처인 것으로 파악되지만, 지시한 주체는 확인 중이라고 덧붙였다.
경찰은 현재 윤 전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와 관련해 비화폰과 업무폰 등 19대를 확보한 상태다. 여기에는 윤 전 대통령 휴대전화도 포함됐다.
앞서 경찰과 경호처는 3주가량 합동 포렌식을 진행해 비화폰 서버 기록 대부분을 복구했다. 경호처는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선별해 경찰에 임의제출했다.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부터 올해 1월 22일까지 기록이 포렌식 대상이다.
경찰은 나아가 내란 혐의 수사와 관련해 지난해 3월 1일부터의 비화폰 서버 기록을 추가 임의 제출받을 예정이다. 포렌식은 이미 이뤄진 상태다.
경찰은 현재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와 관련해 내란 혐의로 입건된 한덕수 전 국무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수사 중이다.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관련 혐의 재판은 이미 진행 중인 만큼 추가 혐의가 포착될 경우 압수수색영장 발부 등을 법원에 적극 요청할 방침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