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멸종위기종 구상나무의 보존사업을 통해 묘목 생존율 96%를 달성했다.
국립산림과학원과 무주국유림관리소는 ‘구상나무 현지외 보존원 조성 사업’을 통해 묘목의 초기활착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 고산지대에만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기후변화로 자생지가 쇠퇴하면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다.
산림과학원은 2022년 무주군 일대에 1591그루 규모의 현지외 보존원을 조성, 모든 구상나무 묘목의 DNA를 분석해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를 멀리 배치하는 ‘DNA 최적 배치 방식’으로 묘목 육성을 시도했다.
그 결과 묘목들이 초기 활착에 성공하며 생존율 96%를 기록했다. 특히 3년차에는 1년차에 비해 생장량이 10배 증가하는 등 성공적인 생육 상태를 보였다. 적합한 입지 선정 및 건강한 묘목 사용, 체계적인 관리가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고 산림과학원은 설명했다.
임효인 산림과학원 고산침엽수 유전다양성복원연구센터 박사는 “현지외 보존원이 복원재료 공급원 역할을 수행하도록 노력하겠다”며 “기관간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