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는 26일 경기도 수원 아주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상태로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다만 “한·미 또는 주변국과 정상회담을 많이 하는 만큼 북한과 안 할 이유는 없고, 당연히 준비하고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지금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을 계속 공언하는 상태라 가능하면 성공할 수 있도록 우리도 관심을 갖고 지원하고 협력할 것”이라며 “그 안에 반드시 (우리의) 역할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북·미 회담에서 한국이 소외되지 않겠느냐 하는, 소위 ‘통미봉남 정책’에 희생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는데 그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북·미 회담이 성공해 개선 조치를 하게 되면 북측에 재정적 부담이 드는 지원사업이 필수적인데, 자기 이익에 매달리는 미국이 대북 지원을 전담하겠느냐”며 “한반도에서 벌어지는 일이라 한국 정부를 패싱할 필요도, 가능성도 없다”고 부연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가 핵무장하는 것은 현실적이지도, 바람직하지도 않기에 북핵을 동결해 비핵화로 가야 하는데, 거기에 미국 역할이 크겠지만 중국, 러시아의 역할도 있다”며 “모든 주변국과 관계를 잘 관리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일 관계와 관련해선 “친일이냐 반일이냐 하는 양자택일 방식이 아니라 지혜롭게 접근해야 한다”며 “과거를 직시하고 미래지향적으로 한·일 관계를 풀어간다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의 원칙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발표한 외교·안보 분야 정책에 담긴 ‘군의 문민통제 강화’에 대해 “국방부 장관을 군인으로 임명하는 게 관행이었는데 이제는 (장관에) 민간인을 보임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