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 티켓구매나 키오스크 주문이 어려운 노년층을 위해 경남도가 팔을 걷었다.
경남도는 디지털 격차 해소와 통신복지 실현을 위해 디지털 활용 교육 확대와 공공와이파이 인프라 확충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어르신 대상 맞춤형 교육부터 공공와이파이 확대, 디지털 접근성과 활용 역량을 동시에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도는 디지털 기기가 낮선 노년층과 정보 취약계층을 위해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을 확대해 지난해보다 42% 늘어난 5만8000명을 올해 목표로 잡았다.
경로당, 복지관 등 노인 활동이 많은 장소를 중심으로 교육하지만 노인단체 등이 원할 경우 장소와 시간을 강사가 맞춰주는 맞춤형 방식도 제공한다.
스마트폰과 키오스크를 활용한 음식 주문·결제, 교통서비스 이용, 민원처리 등 일상 속 디지털 활용법을 실습 중심으로 익히게 해 체감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특히 금융사기 디지털 피싱 예방 교육도 함께 진행한다. 어르신 영화관 나들이, 찾아가는 빨래방,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등과 연계한 협력형 교육도 추진해 교육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누구나 언제든 방문해 디지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상설배움터’를 권역별로 3곳 신설하고, 키오스크·인공지능(AI) 등 최신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체험존’도 기존 1곳에서 4곳으로 늘린다.
통신비 부담을 줄이고 디지털 접근을 위한 인프라도 확충한다. 농어촌 등 데이터 이용에 부담을 느끼는 주민들을 위해 다중이용시설 65곳에 공공와이파이를 새로 구축하고 시내․농어촌버스 1731대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남도 관계자는 “디지털 기술이 모든 도민의 일상 속에 스며들 수 있도록 교육과 인프라를 함께 강화할 것”이라며 “앞으로 누구나 평등하게 디지털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