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새벽 자신 소유 SNS 트루스소셜에 “왜 하버드는 전체 학생의 거의 31%가 외국에서 왔다고 밝히지 않는걸까”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에 전혀 우호적이지 않은 몇몇 국가들은 학생을 교육하는 데 한 푼도 쓰지 않고 있으며, 그럴 의도가 전혀 없다”면서 “누구도 우리에게 이것(외국인 학생이 몇 명인지)을 말해주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가 하버드에 수십억 달러를 지원한 만큼 우리는 이들 외국인 학생이 누구인지 알고 싶다”면서 “하지만 하버드는 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우리는 그들의 이름과 국적을 알고 싶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하버드는 5200만 달러(약 712억원)를 갖고 있다”며 “이 돈을 쓰고, 연방정부에 보조금을 계속 요청하는 것을 멈춰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를 근절하겠다며 교내 정책 변경 및 정부의 학내 인사권 개입 등을 요구했지만 하버드대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하면서 극심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면세 혜택 취소 위협, 연구 지원금 삭감 및 동결 등 조치에 이어 지난 22일에는 유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SEVP) 인증을 취소하고 하버드대 외국인 학생 등록 자격을 박탈한다고 밝혔다.
국토안보부는 “정부가 유학생들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활동에 대한 상세 기록을 4월 30일까지 제출하라고 (하버드대에) 요구했지만 충분한 자료를 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하버드대는 다음 날인 23일 오전 정부를 상대로 곧바로 소송을 제기했다. 매사추세츠 연방법원이 하버드대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SEVP 인증 취소 효력은 일단 중단된 상태다.
한편 CNN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지난해 10월 외국인 학생의 국적 목록을 공개했으며, 그 비율은 전체의 27% 정도이다. 중국 출신 학생이 가장 많고 이어 캐나다, 인도, 한국, 영국이 뒤를 이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