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 규제자유특구 선정

입력 2025-05-21 14:30

대전시의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가 2025년도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선정됐다.

21일 시에 따르면 특구는 시가 기획을 총괄하며 대전테크노파크·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주요 기관이 참여한다. 항우연은 실증 총괄을, 테크노파크는 참여기업의 지원과 운영을 맡으며 민간기업은 부품 개발과 검증을 담당한다.

유성구·대덕구 일대 약 515만㎡ 규모로 조성되며 다음달 1일부터 2029년 12월 31일까지 운영된다. 항우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11개 우주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이 우주추진용 고압가스 기반 부품의 시험·제작·인증 등 전 주기 실증을 수행한다.

특히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의 규제를 일정 부분 유예하거나 완화해 고압가스를 활용한 부품의 제작·시험·인증까지 전 과정을 실증할 수 있다.

시는 특구 운영을 통해 약 675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389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향후 ‘2030 대전 우주산업 육성 종합계획’과 연계해 누적 1조3000억원 규모의 장기적 생산 유발 효과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은 대한민국 우주산업을 선도한 역사와 최고의 연구개발 인프라를 갖춘 도시”라며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미래 우주경제를 선도하는 글로벌 우주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