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지반침하 사각지대 없앤다

입력 2025-05-21 13:40
지표투과레이더(GPR) 설치 차량이 지반침하 여부를 탐사하고 있는 모습. 대전시 제공

전국적으로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대전시가 선제 대응에 나섰다.

21일 시에 따르면 2021년부터 이달까지 대전에서 발생한 지반침하는 총 32건이었으며 이중 29건은 노후 하수관 파손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인명 피해사례는 없었다.

시는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올해 14억원을 들여 시 전역 하수관로 578㎞와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하차도 28㎞에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는 법적 최소 요건을 넘어서는 규모로 공동(空洞) 탐지와 사고 예방에 중점을 둔다.

여기에 2025년 추경 예산 2억원을 반영, 인명피해 우려 지역과 대규모 공사장 주변에도 수시 탐사를 실시한다. 이 구간은 연간 단가 계약을 통해 긴급 상황 시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시는 특히 대규모 굴착공사 인허가를 받을 때 GPR 탐사 의무 조건을 부여하는 제도도 도입했다. 서울·부산 등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대형 침하사고 사례에 따라 제도적으로 사전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공사 착공 전과 시공 중, 준공 전, 우기 전후 등 연 2회 이상 탐사를 조건화해 민간사업자의 책임을 함께 강화한다.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인 노후관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시는 장기적으로 204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부터 노후 상·하수관로 298㎞를 정비하기로 했다.

지반침하 원인을 보다 신속하게 분석하기 위해 ‘지반침하 사고조사위원회’도 구성한다. 위원회는 지반침하 발생 시 자치구·시·국토교통부 등 유관기관과 연계해 신속한 구조 및 복구, 원인조사를 실시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반침하는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위험 요소”라며 “지반침하 사고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이지 않는 위험을 사전에 탐지하고 원인을 제거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도로 꺼짐이나 균열 등 이상 징후를 발견하시면 즉시 신고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