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 창원시, ‘지역 거점도시 육성’ 공약 건의

입력 2025-05-21 12:45
창원특례시청 전경

인구감소로 특례시 지위를 위협받는 경남 창원시가 ‘지역 거점도시 육성’을 대선 공약화 및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기 위해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창원시는 동남권 거점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창원 의과대학 설립, 특례시 특별법 제정 및 비수도권 특례시 지정 기준 변경, R&D 연구기관 중심 공공기관 창원 이전, 마산 구도심 활성화 추진 등 4가지 지역 균형발전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의료불균형 해소를 위해 30년 넘게 의대 신설을 추진해 왔지만 번번이 무산되면서 경남에서는 연간 20만명 이상이 수도권으로 원정진료를 떠나는 상황이다.

의대 설립은 의료체계 개선효과는 물론 의료ㆍ바이오 디바이스 산업과 연계한 미래신산업 육성도 가능한 영역인 만큼 시는 인근 종합병원, 대학과 협의해 신설에 주력할 계획이다.

시민이 체감하는 실질적 권한 확보를 위해 ‘특례시 특별법 제정’도 추진한다. 특례시가 출범한 지 3년째지만 실질적인 행정‧재정적 권한이양이 부족한 상황에서 국회에 계류 중인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통과 및 비수도권 특례시 기준 완화 등을 추진해 줄 것을 강하게 요청할 방침이다.

R&D 공공기관 이전을 위해서는 수도권 공공기관 중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 창출이 가능한 기관을 중심으로 유치전략을 수립해 추진한다.

또 마산경제의 구심점 역할을 해온 롯데백화점 마산점 폐점에 따라 지역 활력이 급격히 저하된 만큼 ‘마산 구도심 활성화’도 공약사항으로 건의한다.

이와 함께 미래 융복합 도시공간 조성을 위해 창원권 GB 전면해제, 물의 도시 마산 재창조 등 2개 사업을 핵심과제로 선정해 도시를 재구조화한다.

마창진 3개시의 경계 도넛형태로 자리잡고 있는 GB들이 도시공간 구조를 단절시키고 균형발전을 저해하고 있어 해제가 시급하다.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수도권 과밀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거점도시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창원이라는 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각종 현안 과제들이 국정과제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