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자원회수시설 현대화’ 시민공론장 약속 이행

입력 2025-05-21 11:55
의정부시 장암동에 위치한 의정부자원회수시설. 의정부시 제공

경기 의정부시가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5년간 표류하던 소각장 증설 사업은 2023년 시민공론장을 통해 투명성과 신뢰를 확보하며 새 출발을 알렸다.

의정부시는 21일 시청 기자실에서 김보경 환경자원국장 주재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의 추진 현황과 주민 요구사항 반영 상황을 설명했다.

장암동에 위치한 자원회수시설은 2001년 200t/일 규모로 준공됐지만, 현재는 시설 노후화로 가동이 정지되는 등 약 170t 규모로 소각량이 감소했다. 폐기물 증가와 수도권매립지 반입 중단 등의 이유로 증설이나 이전 신설 등 대책 마련 필요성이 제기됐다.

시는 공론장 결과에 따라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에 230t/일 규모의 소각시설 증설과 주요시설 지하화를 재정사업으로 추진 중이며, 행정절차와 환경영향평가, 주민 편익시설 설치 등 각종 세부 계획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2023년 7월 ‘의정부 생활폐기물과 소각 및 처리시설 문제해결 시민공론장’을 개최, 직접 시민이 참여해 사업 방향을 결정했다.

공론장에서는 소각시설 증설(68.4%), 신규부지 신설(70.2%), 환경오염 최소화(30.9%), 지하화 및 랜드마크화(24.6%), 입지부지 자일동(76.1%), 재정사업 추진(96.1%), 굴뚝 높이 최대화 및 경관 고려(23.45%) 등 구체적 방안이 합의됐다.
김보경 의정부시 환경자원국장이 21일 시청 기자실에서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의 추진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재구 기자

시는 공론장 결과를 전면 수용,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에 230t/일 규모로 소각시설을 증설하고, 주요 소각시설을 지하에 배치하는 재정사업으로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다.

사업 추진을 위해 2024년 8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요구, 11월 면제사업으로 선정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검토 결과와 기획재정부, 환경부 협의의견을 반영해 사업계획이 보완될 예정이다. 시설용량은 생활폐기물 발생량과 도시개발계획을 고려해 230t/일로 확정했다.

지하화 배치계획 역시 시민공론장 의견을 반영, KDI와 협의 중이다. 소각 관련 주요시설을 지하에 두어 악취와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음식물처리시설 신설은 기술진단 결과에 따라 추진된다. 암반 공사로 인한 소음·진동 피해도 설계 기준에 따라 최소화할 계획이다.

굴뚝 높이는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59m, 80m, 100m 세 가지 안이 모두 적정하다는 판정을 받았으며, 최대 100m로 계획해 환경영향을 최소화한다. 주민편익시설로는 수영장, 실내골프연습장 등 체육시설과 환경자원센터 진입로 양측 공원화가 추진된다. 주민지원협의체와 협의해 구체적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자일동 주민 불편 해소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도시가스, 상하수도, 도로 등 기반시설 설치를 완료했으며, 추가 설치는 관련 법과 행정절차에 따라 추진 중이다. 방음벽, CCTV, 도로조명 등 안전시설도 확충했다. 주민 요구사항 59건 중 20건이 이미 조치 완료됐고, 나머지는 검토 및 행정절차가 진행 중이다.

김보경 시 환경자원국장은 “시민과 함께 소각장 문제를 해결한 시민공론장 결과를 존중해 현대화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자일동 지역 주민들과 꾸준히 소통하며 불편사항이 해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시민공론장 이후 다섯 차례 주민간담회와 두 차례 주민경청회, 두 차례 주민설명회를 통해 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했다. 앞으로도 주민설명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결과에 따라 신속히 행정절차를 이행, 2027년 착공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