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를 비롯해 목회자 가족 돌봄이 교회 공동체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 과제라는 제안이 나왔다.
20일 경기도 용인 HL인재개발원에서 만난 박남영(58) 북단양교회 목사는 25년간 말레이시아 선교사로 지냈다. 선교지에서 오랜 세월을 헌신한 박 목사는 선교를 마치고 한국에 들어왔을 때 방황했다고 했다. “‘나’를 잃어버린 기분이었죠.” 선교를 마치고 한국에 돌아온 박 목사는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을 겪기 시작했다.
그는 “선교지에서 5~6개 교회와 여러 기관을 돌보며 숨 가쁜 선교를 했다”며 “사역에만 몰두하던 세월 동안 나를 돌아볼 여유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박 목사는 자기돌봄의 중요성을 깨닫고 2년 동안 스무 차례 상담치료를 받으며 회복됐다. 그는 “사명과 소명이라는 부담감으로 자신을 돌보지 못했다”며 “마음의 여유가 생기자 성도를 돌보고 함께 누리는 것이 자연스러운 과정이 됐다”고 밝혔다.
이같은 목회자와 사모가 이들 고민을 공유하고 회복을 돕는 ‘돌봄클리닉’이 개최됐다. 19일부터 사흘간 종교교회(전창희 목사)가 주최하는 돌봄클리닉은 자기돌봄부터 가족 공동체 돌봄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전문가 강연과 소그룹 모임을 통해 제시했다.
‘기질검사와 성격검사를 통한 자기돌봄’을 주제로 발표한 조인효 전 숭실대 교수는 기질 및 성격 검사(TCI)를 소개했다. TCI는 유전에 의해 선천적으로 결정되는 기질(Temperament)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후천적으로 정해지는 성격(Character)을 함께 분석해 자신의 유형을 알아보는 검사다.
조 교수는 “기질은 생물학적으로 결정돼 변화하기 어렵지만 성격은 변화가 가능하다”며 “자신의 기질과 성격을 파악해 기질의 불안정한 부분을 성격으로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목회자는 자신 유형을 자각하고 수용한 뒤, 변화하는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 조 교수의 설명이다. 조 교수는 “기질을 보완하기 위한 성격 성숙은 신앙을 통해서도 이뤄질 수 있다”며 “자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때 타인을 위한 건강한 돌봄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목회자뿐 아니라 그 가족과 목회자 자녀(PK) 돌봄 문제도 함께 논의됐다. PK로 자란 최주혜 숭실대 기독교학과 교수는 많은 목회자 자녀가 겪는 환경 관계 교육에 대해 연구했다. 최 교수는 “PK 정체성은 목회자라는 부모 직업의 일부로써 영향받는다”며 “이들은 부모와 교인의 기대감을 경험하면서 자란다”고 말했다. 이어 “교회에 대한 돌봄을 우선시하는 부모로 인해 PK는 돌봄의 부재를 경험할 수 있다”며 “목회자는 자녀가 느끼는 사회적 부담감을 인식해 이들과 충분히 소통해야 한다”고 했다.
전창희 목사는 국민일보에 “목회자가 자신을 돌보며 치유하는 시간을 통해 바로 서길 바랐다”며 “목회자가 바로 설 때 그 가정과 교회, 한국교회 전체가 살아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교회 안에서만 나누던 정보를 다른 교회와 공유하며 더 넓은 연결을 이루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용인=글·사진 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