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역 현실에 맞춰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경남형 인구정책 전담팀(TF)’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
전담팀은 경남 인구문제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도·내외 인구·복지·도시 등 관련 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인구정책의 보완 분야를 도출하고 경남만의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춘 우선 과제를 발굴하고 도출된 과제가 현실성 있는 정책으로로 이어지도록 설계할 예정이다.
전담팀은 ‘경남형 인구정책 브랜드’를 개발하고 이를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수 있도록 예산과 정책에 반영한다.
19일 열린 1차 회의에서 경남의 기존 인구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함께 현재 도가 직면한 인구문제의 특징을 중심으로 정책 여건을 논의했다. 인구미래담당관실에서 그간의 도 인구정책을 분석 발표하고, 경상남도여성가족재단에서 ‘저출생 극복 분야’, 경남연구원에서 ‘생활인구 확대 분야’를 분석해 발표했다.
저출생과 관련해서는 생애주기별 접근을 통해 청년층, 특히 여성 인구의 유출 심화와 결혼에 대한 낮은 인식이 혼인율 저하로 이어진다는 점이 강조됐다. 주요 과제로 결혼 비용 부담 및 출산·양육 준비 지원, 늦은 결혼에 따른 출산지원, 일-생활 균형, 사회 인식 전환 필요성 등이 제시됐다.
생활인구 확대 분야에서는 최근 발표된 자료를 기초로 경남에서 일하고, 머물고, 즐길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한 전략이 논의됐다. 관광·체험 기반 확충 및 홍보 강화, 귀농·귀어·귀촌 청년, 1인가구 대상 맞춤형 정착, 외국인 근로자의 지역사회 정착 지원 등이 논의됐다.
도는 각 분야에서 도출된 문제를 바탕으로 보완 분야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뒤 실효성 있는 맞춤형 정책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기영 경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전국적으로 인구감소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경남이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속도감 있게 전담팀을 운영하고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지게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