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서울 초등학생의 우울·불안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등 SNS 사용과 1980년대생 학부모의 과보호 등이 모두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20일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3차연도 결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초등생의 우울감(3점 만점)은 1차 조사를 시작한 2021년 0.51점에서 2022년 0.6점, 2023년 0.73점으로 3년 연속 상승했다.
연구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113개, 중학교 98개, 고등학교 99개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초등생 연구는 2021년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을 3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에서 초등생의 불안(1점 만점) 중 ‘과도한 걱정’은 2021년 0.44점에서 2022년 0.54점, 2023년 0.58점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예민함’은 0.41점에서 0.49점으로, ‘부정적 정서’는 0.17점에서 0.26점으로 올랐다.
보고서는 이같은 초등생의 부정적 감정 증가가 스마트폰 및 SNS 사용시간 증가, 학업 및 교우관계 스트레스,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감 등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학생들은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등 SNS나 유튜브를 통해 간접적으로 타인의 삶을 경험하고 그들과 소통한다”며 “타인의 화려한 삶과 비교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기도 하며 자극적인 영상과 이야기가 영향을 주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한 자문위원은 ‘1980년대생 학부모’ 또한 영향을 줬을 것으로 봤다. 과도하게 자녀를 보호하려는 성향이 오히려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이 자문위원은 “작은 좌절과 불안에 대해 지나치게 정서적으로 보호받고 지원받는 아동의 경우 오히려 불안 수준이 높고 작은 어려움에도 크게 좌절하게 된다”고 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