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교수는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많은 분들의 제보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반팔 티셔츠, 긴팔 후드 티셔츠, 가방 등 다수의 상품들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었다”면서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를 패러디한 ‘더 사우스 페이스’라는 로고를 사용하면서 바로 옆에 전두환씨 얼굴을 넣은 것”이라고 알렸다.
이어 “더 큰 문제는 5·18민주화운동을 유혈 진압한 후 대통령에 취임했던 시기의 모습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타오바오 측에 항의 메일을 보내 ‘이런 상품을 판매하는 건 수많은 희생자 유족들에게 또 한 번의 큰 상처를 입히는 행위’라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그는 “팔 물건과 안 팔 물건을 최소한 구분할 줄 알길 바란다”며 “남의 나라의 아픈 역사를 희화화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특히 이런 부분을 자신들의 수익 구조로 삼는다는 건 더 큰 문제”라고 비판했다.
앞서 5·18기념재단도 전 전 대통령의 사진을 활용한 상품 판매 금지를 요청하는 내용의 공문을 지난 지난 9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에 보냈다. 해당 판매글은 알리에서 삭제돼 검색 및 판매 불가한 상태로 변경됐다.
중국에서 전 전 대통령과 관련한 논란이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월에는 한 중국 틱토커가 전 전 대통령의 흉내를 내며 광주시내를 누비는 영상을 올려 거센 비판을 받았다.
또 중국 프로축구 구단 산둥 타이산의 일부 홈팬은 광주FC와의 경기 도중 전 전 대통령 사진을 펼치기도 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