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문제를 두고 “저는 일정하게 올릴 수 있다고 본다”고 19일 밝혔다.
김 후보는 그러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주한미군 규모를 감축하는 게 아닌지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 한 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 간담회에 참석해 “우리가 지금 불안하게 생각하는 것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방위비 분담금을 올리자고 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한·미 양국은 2026년까지 적용할 분담금 협정을 이미 타결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 협상과 결부해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짚고 넘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상황이다.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고위급 통상 협의에서 미국 측은 일단 방위비 문제는 따로 제기하지 않았다.
김 후보는 이어 “주한미군이 혹시 감축되면 어떻게 하냐, 줄어서 빠져나가면 어떻게 하냐 걱정이 하나 있다”며 “주한미군이 잘 유지되는 것이 중요한 우리 관심사”라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주한미국 감축 관련 이야기가 나왔던 만큼 이에 대한 우려를 표한 것으로 보인다.
외교가 안팎에선 북한 핵능력 고도화 등으로 주한미군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은 작지만 그 역할이나 성격이 변화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김 후보는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북한 핵 협박에 대해서 우리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고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좀 더 생겨야 된다고 본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확실한 방안을 말씀해 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제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6월 중에 바로 미국을 방문해서 트럼프 대통령과 조기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양국 경제 협력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면서 “한·미 정상 간의 포괄적인 협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양국이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국방 첨단 기술 공유와 협력을 지향하는 오커스(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 공동 개발에 참여하겠다”면서 “10대 국방 첨단 기술을 선정하고 관련 연구개발(R&D) 예산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는 “주한 미군의 안정적 주둔 여건 확보와 한·미 양국 국방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도 확대 추진하겠다”고도 말했다.
김 후보는 “여러 부분에서 미국은 우리에게 절대적인 동맹”이라며 “북한 핵 위협과 국방 안보상 미군이 철수할 때 오는 위험이 있다면 우리 경제는 유지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런 생각이 흔들리지 않는 이유는 바로 제가 반미주의자였기 때문”이라며 “지금도 저보고 배신자라고 하는 사람이 많이 있는데 제가 배신한 것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이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후보는 “만약 중국이 미국보다 앞서버리면 우리 국민들의 다수는 중국 쪽으로 갈지도 모르겠다. 중국이 만약 공산주의가 아니라면 저는 뭐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중국 공산당을 제가 겪어봤는데 공산주의는 자유도 없고 인권도 없고 번영도 없다”고 비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