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대형 화재로 공장 가동이 전면 중단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근로자 2300여명의 ‘고용안정’을 골자로 한 후속대책을 추진한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19일 오전 광주시청 기자실에서 열린 출입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관련 정부에 고용위기지역·특별재난지역 지정과 함께 고용위기지원금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원활한 피해 수습을 위해 행정안전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하는 한편 13억원 상당의 특별교부세 지원도 요청했다”며 “금호타이어 화재가 지역경제 고용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고용안정성 확보를 위해 고용위기지원금 지급도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근로자는 정규직 2208명을 포함해 총 2350명 규모로, 지난 17일 화재 발생 이후 대부분 자택에서 대기중이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이번 화재로 핵심 설비가 집중된 2공장 절반 이상이 소실돼 공장 재가동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공장 재가동이 요원한 상황에서 광주시는 자칫 이번 화재가 근로자 해고 등 고용 불안정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강 시장은 “우선은 금호타이어 차원에서 고용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고용위기지역 지정이나,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조건이 까다롭지만 광주시도 정부와 함께 필요한 노력을 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화재 피해 주민들에 대한 보상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광주시와 금호타이어는 이날 오전 9시부터 광주 광산구청 1층에 마련된 피해접수창구 운영을 시작하고, 피해 내역을 접수받고 있다. 시는 또 주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매시간 대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주변 도로를 청소해 분진 재비산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막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현재 화재 현장 인근 오염물질농도는 화재 전 평균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시는 진화 작업에 나선 소방대원들에 대해서도 샘플링을 통한 유해물질 노출 여부를 조사하는 등 건강검진을 실시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17일 오전 7시11분쯤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 내 정련 공정에서 불이 났다. 이 불로 2공장의 50~60% 상당이 소실됐다. 불은 18일 오후 대부분 잡혔으며, 현재 막바지 잔불 진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소방 당국은 생고무를 예열하는 산업용 오븐 장치에서 불꽃이 튀면서 화재가 시작된 것으로 잠정 파악하고 있다. 당국은 화재 현장이 수습되면 금호타이어 관계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방침이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