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형 산불에 놀란 대구시 조직개편으로 대응력 강화

입력 2025-05-19 10:48 수정 2025-05-19 11:05
대구시청 산격청사 모습. 대구시 제공

도심형 산불의 위험성을 보여준 대구 함지산 산불(지난달 발생)을 계기로 대구시가 산불 대응력을 강화에 나선다. 조직 정비로 재난대응체계를 일원화해 효율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시는 시민 안전 확보와 재난 대응력 강화, 권한대행 체제의 안정적 시정운영을 위해 2025년 하반기 정기 조직개편을 단행한다고 19일 밝혔다.

권한대행 체제 첫 조직개편은 시민 안전에 초점을 맞췄다. 도심형 산불로부터 시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산림재난대응 체계를 정비할 계획이다. 흩어져 있는 시의 재난 관련 기능을 일원화해 산불 등 재난 대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시는 산림재난대응 기능을 담당하는 산림녹지과를 환경수자원국에서 재난안전실로 이관하고 산림관리과로 명칭을 변경해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을 일원화했다. 재난대응 전문성을 갖춘 재난안전실이 산불대응까지 총괄하면 신속한 현장파악, 초기진화, 긴급대피, 이재민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 시의 생각이다. 재난 초동대응을 위해 만든 ‘재난안전기동대’의 현장지휘와 지원을 위한 재난안전기동팀도 신설한다.

시는 이밖에도 대구대표도서관 개관 준비를 위한 사업소를 신설하고 대구시의회 독립성 강화를 위한 기능과 정원도 보강한다. 새로 운영되는 대구소방학교의 지원을 위해 대구소방안전본부에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담팀도 설치한다. 한시 기구인 군사시설이전정책관, 맑은물하이웨이추진단, 원스톱기업투자센터의 존속 기한을 2026년 10월까지 연장해 시의 핵심 사업이 막힘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했다.

조직개편에 따라 시는 기존 조직에서 1사업소가 늘어난 1단·3실·16국·1본부·6사업소 체계를 갖추게 된다. 대구시의회는 1담당관이 늘어난 5담당관 9전문위원 체제로 변경된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시민안전에 소홀함 없이 없도록 산림재난대응 체계를 정비했다”며 “시 역점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권한과 책임을 강화하는 조직 정비도 함께 진행했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