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18일(현지시간) 무역 대상국들이 미국과 협상에 성실하게 나서지 않으면 다시 높은 관세를 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N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은 성실하게 협상하지 않으면 4월 2일 수준으로 돌아갈 되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말했다. 4월 2일은 트럼프가 ‘미국 해방의 날’로 부르며 전 세계에 상호관세 폭탄을 발표한 날이다. 트럼프는 이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했고, 미국 정부는 각국과 협상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미국과 협상을 개시한 상태다.
베선트는 “우리가 단순히 (관세) 숫자를 정해버릴 수 있는 더 작은 교역 관계들이 많다. 또 다른 관점은 우리가 지역별 협상을 많이 하게 될 것이라는 점”이라며 “하지만 우리가 지금 당장 집중하는 것은 18개의 중요한 교역 관계”라고 말했다. 교역 규모가 큰 18개 국가와는 개별적으로 협상을 하지만 나머지 나라는 지역 단위로 관세율을 설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도 지난 16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기업 라운드테이블 행사에서 “무려 150개 국가가 미국과 무역 협상을 원하지만 모두 다 만날 수는 없다”며 “2~3주 안에 베선트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각국에 서한을 보내 앞으로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어떤 비용을 지불하게 될지 안내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베선트는 오락가락하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전략적 불확실성’이라고 옹호했다. 그는 “우리가 상대에게 너무 많은 확신을 주면 그들은 협상에서 우리를 가지고 놀 것”이라며 “나는 이 협상이 끝나면 소매업체와 미국 국민, 미국 노동자 모두 더 나은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가 월마트에 가격 인상을 하지 말라고 압박한 것에 대해서도 “월마트의 더그 맥밀런 최고경영자와 직접 통화했다”며 “월마트가 일부 관세는 자체 부담하고, 일부는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라고 했다.
베선트는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1’로 강등한 것에 대해서도 “신용평가사들이 등급을 강등하는 시점에는 이미 모든 게 시장에 반영됐다”며 “별로 신뢰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NBC 방송에 나와서도 신용등급 강등에 대해 “누가 신경이나 쓰겠나? 카타르는 신경 쓰지 않는다. 사우디아라비아나 아랍에미리트도 마찬가지”라며 “그들은 (미국에) 돈을 밀어넣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중동 순방에서 각국이 미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힌 점을 부각한 것이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