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은 18일 “5·18은 계엄군의 살인 진압에 맞서 죽음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낸 사건”이라며 “묵념할 때 죽은 군인을 위한 묵념가가 사용되고 헌화도 제복을 입은 군경이 돕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올해 기념식은 과거 기념식과 전혀 다르지 않은 형식으로 치러졌으나 12·3 비상계엄을 계기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느꼈다는 게 재단 측의 설명이다.
재단은 또 “기념식 무대 좌우에 무장한 군인을 배치했는데 비상계엄 때 국회에 출동한 계엄군과 비슷한 복장이었다”며 “5·18 가해자인 군인이 무기를 들고 서 있는 기념식을 누가 무엇 때문에 준비한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 측은 “재단이 지적한 ‘무장 군인’은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등 행사에 참석한 주요 인사를 경호하기 위한 경호 인력이었으며 경호는 예년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행사에 사용된 ‘묵념곡’에 대해 “정부의전편람에 명시된 묵념곡으로 모든 정부 기념식 국민의례에서 사용되고 있다”며 “최근 5년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도 사용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날 헌화 도우미는 보훈부 소속 국립임실호국원 의전단으로, 군인이나 경찰이 아닌 민간인이 맡았다고 덧붙였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