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사업, 자녀에 못 물려주면 폐업… 중소기업 현주소

입력 2025-05-16 10:17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전경

중소기업 경영자 10명 중 3명은 사업체를 자녀에게 물려주지 못한다면 폐업 또는 매각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업 승계의 가장 큰 걸림돌로는 세금 부담이 꼽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6일 서울 여의도 회관에서 ‘백년기업을 위한 과제, 가업을 넘어 기업승계로 정책전환’ 토론회를 열고 중소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사업 승계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28일부터 4월 16일까지 업력 10년 이상 중소기업 대표·임원·가업 승계 후계자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27.5%는 자녀에게 사업을 승계할 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30.2%가 자녀에게 사업체를 물려주지 못할 경우 매각 또는 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했다. 매각이 21.1%, 폐업이 9.1%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인 영업(25.3%), 임직원 승계(16.6%), 친인척 승계(15.1%)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 경영자의 87.7%는 정부가 기업승계 활성화를 위해 별도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필요로 하는 지원으로는 세금 부담 완화(70.8%)가 가장 큰 표를 얻었다. 인수·합병(M&A) 및 제3자 승계 지원 제도 도입에 대한 찬성 비율도 64.5%에 달했다. M&A 요건 등 승계 절차 간소화, 전문가 컨설팅 지원, 승계 자금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답변도 나왔다.

최수정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발표한 ‘기업승계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입법 방향’에서 다양한 정책 수단을 통합한 기업 승계 지원 법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위원은 “중소제조업의 60세 이상 대표자 비율이 2013년 15.9%에서 2023년 36.8%로 높아지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현행 제도는 상속·증여 중심의 가족 내 승계에 머물러 있어 다양한 승계 방식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최 연구위원은 그러면서 “일본의 ‘경영승계원활화법’ 사례처럼 가업 승계 지원 대상을 종업원이나 M&A 승계로 확대하고 금융과 M&A 지원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