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만에 적자 기록한 신협, 조직 건전성 개선 시급

입력 2025-05-15 15:28

신협이 23년 만에 적자를 기록하며 조직 건전성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신협중앙회의 경우 해외 투자 손실 등 투자 부문에서 손실이 발생하면서 투자 부문 책임자 인사 처리 및 내부 규정의 실효성에 대한 목소리도 나온다.

이 같은 이유 등으로 신협중앙회는 지난해 투자 운용팀 해체 등 일부 조직개편을 단행했지만, 책임자는 유임돼 순환보직 제도 운영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통상 2~3년 주기로 보직을 순환해 내부통제와 유착 방지, 객관적 업무 처리를 도모하는 것이 관례다.
신협중앙회 역시 동일 부서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직원은 순환보직 대상자로 분류해 전보시키는 규정을 두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장기 근속 사례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투자 부문 책임자의 장기 재임과 관련해 일부 조합원들은 연계대출 상품과 실적상품 배분 과정이 차기 회장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일부 조합원들은 올해 연계대출 목표금액이 높아지면서 부실 가능성이 높은 자산에 대한 투자 위험성도 있다는 의견이다.

300억원 이하 대출은 중앙회 심사위원회 심의 없이 해당 본부에서 임의적으로 투자가 가능해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익명의 신협 관계자는 “연계대출은 중앙회가 조합에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특히 경영이 어려운 조합에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연계대출은 조합의 경영 안정과 투자 기회 제공을 위한 제도로 중앙회장 선거와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인사는 사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권한은 중앙회장에서 있어 경영적인 판단으로 결정된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2월 말 기준 신협 886개 조합 중 104곳(12%)이 부동산 및 건설업 대출 한도 규제를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 수협, 산림조합 등 4대 상호금융기관 중 신협이 가장 높았다.

신협의 연체율은 2023년 말 3.63%에서 2024년 말 6.02%로 증가했으며, 부실채권(NPL) 규모는 7조5653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신협은 341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신협중앙회는 자회사 KCU NPL 대부를 통한 부실채권 매입, 대출 한도 초과 조합에 대한 제재 등 건전성 개선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부실채권 규모가 커 정리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부실채권 정리와 조직 건전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올해 자회사를 통해서만 1조2000억원을 정리할 계획이 세워져 있어 이를 초과해 달성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