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이 해외 창작진과 만든 영어 오페라는 K-오페라일까

입력 2025-05-15 15:28
예술의전당 신작 오페라 ‘더 라이징 월드: 물의 정령’에서 물시계 장인 역의 메조 소프아노 김정미와 제자 역의 테너 로빈 트리출러가 지난 13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연습실에서 리허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예술의전당이 해외 창작진과 손잡고 만든 신작 오페라 ‘더 라이징 월드(The Rising World): 물의 정령’(이하 ‘물의 정령’)은 K-오페라일까 아닐까.

5월 25‧29‧31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무대에 오르는 ‘물의 정령’은 예술의전당이 호주 출신 작곡가 메린 핀스터러와 극작가 톰 라이트에게 위촉한 작품으로 영어로 쓰였다. 예술의전당은 글로벌 무대 진출을 겨냥해 세계적인 음악 출판사인 독일의 쇼트뮤직과 접촉해 여러 소속 작곡가들을 만난 끝에 핀스터러를 낙점했다. 오페라부터 영화음악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음악을 작곡할 정도로 창작에 유연한 핀스터러가 한국적 감성을 넣으려는 예술의전당의 방향성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핀스터러와 콤비로 활동하는 극작가 라이트가 물귀신과 물시계라는 전통적 소재를 모티브로 동서양을 아우르는 대본을 썼다. 물의 정령에 홀린 공주와 왕국의 운명을 바꾸려는 여성 물시계 장인의 이야기를 그린 ‘물의 정령’은 전통 오페라의 관습을 탈피해 두 여성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지휘는 미국의 현대음악 전문 지휘자인 스티븐 오즈굿, 연출도 미국 출신으로 캐나다에서 활동하는 스티븐 카르가 각각 맡았다. 그리고 공주 역의 황수미, 장인 역의 메조소프라노 김정미, 물의 정령 역의 카운터테너 정민호 등 한국 성악가들이 주요 배역을 맡았다. 그리고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연주를 맡는다.

지난 13일 예술의전당 신작 오페라 ‘더 라이징 월드: 물의 정령’ 기자간담회에서 작곡가 메린 핀스터러(오른쪽부터)가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날 연출가 스티븐 카르, 지휘자 스티븐 오즈굿도 기자간담회에 함께했다. 연합뉴스

지난 13일 예술의전당에서 취재진에게 약 20분 정도 공개된 ‘더 라이징 월드: 물의 정령’은 음악적으로 무조성이나 불협화음으로 난해한 현대 오페라와 달리 영화음악처럼 듣기 편했다. 이날 공개되진 않았지만 핀스터러는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음악 기법을 활용하면서 한국 전통 악기 거문고로 포인트를 줬다. 그리고 영어 오페라지만 라틴어와 한국어를 일부 장면에 넣었다”고 밝혔다.

예술의전당은 ‘물의 정령’을 해외에서도 선보이기 위해 초연 때 대만 타이중 극장,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일본 신국립극장 관계자들을 초청했다. 최근 해외에서도 공연되는 K-팝이나 K-뮤지컬 같은 K-오페라를 만들기 위한 포석이다.

다만 예술의전당이 이 작품을 ‘K-오페라’로 소개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고우니 예술의전당 공연예술본부장은 “이번 작품은 ‘현재 사람들이 가장 널리 사용하는 언어인 영어로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출발했다”면서 “K콘텐츠라고 해서 반드시 한국어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했다. 영어 오페라가 오히려 한 걸음 더 앞서나가는 도전이 될 수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지난 13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오페라 ‘더 라이징 월드: 물의 정령’ 기자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서고우니 예술의전당 공연예술본부장, 베이스바리톤 애슐리 리치, 테너 로빈 트리출러, 소프라노 황수미, 메조소프라노 김정미, 작곡가 메리 핀스터러, 연출가 스티븐 카르, 지휘자 스티븐 오즈굿. 연합뉴스

전통적인 오페라 분류법은 오페라에 사용된 언어에 따른 것이다. 이탈리아 오페라, 독일어 오페라, 프랑스 오페라, 러시아 오페라 등의 구분이 대표적이다. 이 기준으로는 한국어로 쓰여진 작품만 K-오페라다. 하지만 현대 오페라는 다국적 아티스트들의 협업으로 언어 구분이 무의미해진 부분도 있다. 오페라 한 편에 여러 언어가 사용되는가 하면 전통적인 오페라와 다른 형태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K-팝이나 K-뮤지컬만 보더라도 제작자와 퍼포머는 한국인이지만 창작진은 해외에서 온 경우도 많다. 다만 K-팝과 K-뮤지컬은 국내에서 한국어 중심으로 공연된다. 국내에서 레퍼토리화 된 한국어 오페라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물의 정령’은 K-오페라에 대한 정의 등 다양한 논쟁을 일으킬 전망이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