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천안시 인구가 시(市)로 승격한지 62년 만에 70만명을 넘어섰다. 인구 50만명 이상 도시 가운데 특례시를 제외하면 6번째 기록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천안 지역 총인구는 지난해 말보다 2730명 증가한 70만29명으로 집계됐다. 시로 승격됐던 1963년 인구(6만2000명)보다 11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시는 인구가 늘어난 원인으로 정주·체류 여건 조성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도시 개발, 기업 유치 등을 꼽았다.
최근 5년간 오스템임플란트, 태성 등 1080개 기업, 15조789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고 3만415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 또 321개 스타트업을 육성해 894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와 693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거뒀다.
또 지난해 6월 정부의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 선정된 후 인공지능(AI), 클라우드, 3D 솔루션 등 IT 글로벌 기업 등과 함께 다양한 혁신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2028년 개통을 목표로 광역급행철도 GTX-C 노선 천안 연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22년 만에 천안역사 증개축 사업에도 착공했다.
아이키우기 좋은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 야간과 휴일에도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365×24 어린이집 1호점을 열고, 국공립 어린이집 9곳을 확충했다. 시간제 보육서비스 제공기관과 다함께돌봄센터도 늘렸다.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청년 인턴 운영, 천안형 청년 채용 연계 프로그램 등 청년일자리 활성화 정책도 인구 증가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에는 조직 개편을 통해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를 구축했고, 올해 3월부터 인구구조 대응, 저출산 해소, 정주 여건 개선, 생활인구 확대 등 인구 증가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인구영향평가제 도입, 다자녀 가구 지원, 인구인식개선 교육 확대 등을 통해 출산율 반등을 유도하는 한편 관광·의료·상업 기능을 강화해 외부 유입형 생활인구 증가 전략도 꾀하고 있다.
시는 2050년 인구 100만명 달성을 목표로 신성장 산업을 육성하고,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산업, 문화, 관광 방면에서 도시 매력도를 높여 나갈 방침이다.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 부시장은 “인구 70만명 달성은 시가 추진해온 인구정책의 성과이자 시민과 행정, 지역사회가 함께 이룬 시너지의 결과”라며 “100만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정주인구와 생활인구가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인구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천안=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