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기계산업 등이 주력산업인 창원특례시가 ‘초일류 제조업 중심지’ 전략을 대선공약에 반영시키기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초일류 제조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 첨단 복합 빔 조사시설, 원자력산업(SMR) 육성 정책 지속화, 창원국가산단 산업혁신파크 대전환, 방산부품연구원 설립 등 5개 과제를 추진한다.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의창구 북면, 동읍 일대 3.39㎢에 총사업비 1조 4200억 원을 투입해 신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GB 국가전략사업 재심의를 앞두고 있다.
소재 첨단화를 지원하는 첨단 복합 빔 조사시설 구축 사업도 정책화에 나선다. 복합 빔 조사시설은 인체를 단층 촬영해 체내를 진단하듯 금속‧기계에 중성자를 조사해 제품 분해 없이 내부 결함을 발견하고 품질을 관리하는 비파괴검사 시설이다.
원자력산업(SMR) 육성 정책은 최근 신한울 3‧4호기 착공, 이집트 엘다바 원전 수주 등 원자력산업이 회복세인 상황에서 국내 유일의 원전 주 기기 제조업체가 있는 창원이 최적지임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시는 방산부품연구원 설립도 추진해 자체 부품개발 수행 및 성능시험지원, 정책‧제도 연구를 지원하는 부품 국산화 전담 연구기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시는 ‘미래 50년 신성장동력 창출’을 목표로 AI 자율 제조 전담 지원센터 구축, 드론 제조 국산화 특화단지 조성,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조성, 첨단소재 실증연구단지 조성 등 핵심과제 4개 사업도 공을 들인다.
최근 우-러 전쟁, 재난 대응 등 드론 활용 가능성이 입증되면서 드론 제조 국산화 및 산업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기계·항공·방산기업이 다수 포진한 창원시가 최적지임을 내세운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기술 패권 시대에 창원산업의 첨단화와 다각화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초일류 제조혁신 사업이 국정과제에 포함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