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SKT 비방 말라”…LG유플러스 사장 ‘마케팅 금지령’

입력 2025-05-12 14:56 수정 2025-05-12 21:40
서울 시내 휴대폰 판매장 전경. 뉴시스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이 SK텔레콤 해킹 사태 직후 이번 사태를 영업 기회로 활용하지 말라는 내부 지시를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릴 절호의 기회임에도 사회적 혼란을 악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해킹 사태 발발 이후 일선 판매점에서 음성적으로 지속되는 공포 마케팅을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홍 사장은 SK텔레콤 해킹 사태가 처음 알려진 직후 이재원 컨슈머부문장에게 “공정한 경쟁과 고객 편익이 우선”이라며 “경쟁사 비방을 절대 금지하라”고 지시했다. SK텔레콤 해킹으로 인한 국민적 불안감을 이용해 번호이동을 권유하는 등 마케팅을 전면 금지하라는 취지다. 이어 지난달 30일에는 핵심 임원 대부분이 참석한 비상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지침을 다시 한번 하달했다. 홍 사장은 “SK텔레콤만의 문제로 생각하지 말고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당부도 전했다.

LG유플러스 측은 홍 사장이 마케팅 금지령을 재강조한 4월 말 이후 비정상적인 마케팅·광고가 상당 부분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일선 대리점·판매점 전반에 홍 사장의 강력한 의지가 전달된 분위기”라고 말했다.

신임 사장으로서 첫 임기를 시작한 지 반년밖에 되지 않은 홍 사장 입장에서 시장 호재를 마다하기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KT에 비해 명백한 후발 주자다. 업계 1위인 SK텔레콤(2273만명)은 물론이고 KT(1316만명)와 비교해도 가입자 수에서 차이가 크게 난다. 이 같은 5:3:2의 가입자 비율은 수년째 뒤바뀌지 않고 있다.

KT도 지난달 29일 이현석 커스터머부문장(부사장) 명의의 공문을 통해 불건전한 마케팅을 자제하라고 당부했지만 일선 휴대전화 판매점에서 해킹 사태 관련 광고가 지속되는 모양새다. 해킹 사태가 터진 뒤 KT 대리점에서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KT로 오세요” “SK텔레콤 고객님, 개인정보 유출 사건 걱정되시죠” 등 문구를 써 붙이며 공격적인 번호이동 마케팅에 나서 논란이 됐다. 이에 대해 KT는 “일부 매장의 일탈 행위”라며 선을 그었다.

KT와 LG유플러스가 적극적인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공포 마케팅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어렵다. 국민일보가 휴대전화 판매점들의 온라인 광고 다수를 확인한 결과 이날 기준 여전히 “SK텔레콤 유심 교체 고객 주목, KT로 유심 변경하세요” “해킹 걱정되시죠, 아이폰은 LG유플러스가 가장 저렴합니다” 등 광고 문구를 앞세운 홍보물이 확인됐다. 통신사들은 대리점의 경우 어느 정도 통신사의 통제하에 두는 게 가능하지만, 계약 형태 특성상 모든 판매점의 광고 행위를 완벽하게 제재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KT 관계자는 “모든 유통 채널에 SK텔레콤 해킹 이슈와 관련된 온·오프라인 홍보를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이라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