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등 담은 조직개편안 입법예고

입력 2025-05-11 14:09
제주시 연동에 위치한 제주도청사 전경. 제주도 제공

제주도가 새정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신설 등의 내용을 담은 조직개편안을 9일 입법예고했다.

11일 도에 따르면 이번 개편안은 경제 성장동력 강화와 도민 일상에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올 환경, 보건, 안전, 1차산업 분야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환경 분야에서 기후환경국 내 ‘탄소중립정책과’를 신설한다. 이는 지난 2월 정부의 탄소중립도시 지정에 따른 2035 탄소중립 선도도시 관련 사업을 전담하기 위한 조치다. 제주시와 서귀포시에도 탄소중립팀을 새롭게 배치한다.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을 관리하는 환경자원순환팀은 현장 업무의 효율성과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소로 위상을 높인다.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에너지 대전환을 위해 혁신산업국에 ‘분산에너지지원센터’를 설치한다.

보건 분야에서는 도 보건정책과에 ‘건강주치의팀’을 신설해 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 시범 운영을 준비한다.

제주시는 식품안전과와 위생관리과로 분리해 식품안전과 의료기관 관리를 고도화하고, 제주보건소에 감염예방의약과를 설치한다.

서귀포시는 서귀포보건소에 건강증진과를 신설하고, 인구 대비 높은 노인․장애인 비율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장애인과를 노인복지과와 장애인복지과로 분리한다.

안전 분야에서 소방안전본부 산하에 ‘119특수대응단’을 신설한다. 증가하는 특수 사고에 대비하고, 안전체험관팀을 별도 직속으로 편제해 도민 안전 역량 향상을 도모한다.

자치경찰단은 교통생활안전과를 생활안전과와 교통안전과로 분리한다. 이를 통해 국가경찰 사무 중 교통 관련 사무를 이관받고, 학교안전경찰관 등 주민 안전 업무에 집중한다.

농업 분야에서는 인력난 대응과 1차산업 경쟁력 확충을 위해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농정부서를 친환경농정과와 감귤유통과로 분리한다.

이와함께 이번 개편안에는 2026년 7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될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을 신설하는 내용이 담겼다.

전담기구를 통해 중앙정부 경제정책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급성장하는 크리에이터 경제 등 신산업 육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15일까지 의견 수렴 후 6월 제주도의회 정례회에 조례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번 개편을 통해 도와 행정시 간 기능 연계를 심화하고,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전담 조직을 신설해 정책 체감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명동 제주도 기획조정실장은 “인력 재배치로 조직 효율성을 높여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