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전문 기관과 협력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종아동 수색 같은 지역 맞춤형 과학기술 개발 작업을 추진한다.
경찰청은 과학치안 진흥센터와 협력해 2025년도 자치경찰 연구개발 사업 2차 과제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선정 과제는 동국대가 서울시 자치경찰 위원회 등과 협력한 ‘인공지능(AI) 활용 실종 아동 수색 및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사업’과 전주대가 전북 자치경찰위원회 등과 협력한 ‘순찰 로봇 및 영상 센서 활용한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으로 이뤄졌다.
자치경찰 연구개발 사업은 경찰청이 지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07억원을 들여 지역별 연구 기관, 자치경찰위원회, 시도 경찰청 등과 협력해 지역 특성에 따른 치안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과학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1차 사업은 지난 2023년 대구와 제주에서 진행됐다.
이번에 선정된 ‘AI 활용 실종 아동 수색 및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사업’은 AI를 활용해 학교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동의 이상행동을 미리 감지해 범죄를 예방하고, 아동이 실종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CCTV를 신속하게 탐지해 아동을 조기에 발전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순찰 로봇 및 영상 센서 활용한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은 전주천 산책로 주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상행동 탐지 기능을 개발해 자율순찰 로봇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중화장실 내 불법 촬영을 예방하기 위한 감지 시스템도 개발한다. 화장실을 엿볼 수 있는 모든 공간에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사각지대를 없애 불법 촬영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골자다.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과 관계 기관이 과학 치안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치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과학 치안 기술을 개발해 자치경찰의 범죄예방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최원준 기자 1j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