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행정 효율성 제고와 시민 민원 불편 해소를 목표로 추진한 백석별관 부서 재배치 계획이 지난 3월 시의회의 예산 전액 삭감으로 전면 무산됐다. 이로 인해 분산된 청사를 찾아다니는 시민 불편과 임차료 등 예산 낭비가 계속되고 있다.
고양시는 인구 108만의 대도시로, 시청 본관은 1983년 건립된 노후 건물이다. 현재 시청 부서는 본관, 신관, 1·2·3별관, 백석별관, 8개 임차 청사 등 총 14개 건물에 분산돼 있다.
이로 인해 민원인들은 여러 건물을 오가야 하고, 주차 공간 부족도 심각하다. 특히 사회복지국은 장애인·노인·아동 등 취약계층 민원이 집중되지만 9개 공간에 흩어져 있어 시민들이 담당 부서를 찾기 어렵다. 자족도시실현국 등도 부서 간 협업에 어려움을 겪고, 청원경찰들은 보안 외에 안내 업무까지 맡아 과중한 부담을 안고 있다.
시는 사회복지국 등 7개 실·국과 3개 담당관 등 30개 부서를 백석별관으로 통합 이전해 행정 효율을 높이고 시민 불편을 줄일 계획이었다. 백석별관은 연면적 6만6189㎡, 541면의 주차 공간, 지하철 3호선 백석역 인접 등 뛰어난 접근성을 갖췄으며, 냉난방·LED 등으로 유지관리비 절감 효과도 기대됐다. 총 사업비는 65억원이었다.
하지만 시의회가 추가경정예산 심의에서 예산 65억원 전액을 삭감하면서, 백석별관은 미활용 상태로 남게 됐다. 시는 임차 청사 임대료로만 연간 약 9억4000만원을 지출하고 있고, 관리비 등 연 4억원 절감 기대도 무산됐다. 12월 만료되는 임차 청사는 계약 연장으로 추가 예산이 불가피하다.
시 관계자는 “예산 미반영으로 인한 사업 차질은 매우 아쉽지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관련 특위에서도 백석 업무빌딩 장기 미활용 문제를 주요 쟁점으로 지적한 만큼 시의회와 긴밀히 협의해 시민 중심의 효율적인 청사 운영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