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TV토론·여론조사 ‘단일화 로드맵’ 추진… 金측 “법률대응할 것”

입력 2025-05-08 00:28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단독 회동을 마친 후 각각 식당을 나서는 모습. 이병주 기자

국민의힘이 제21대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 이전까지 김문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의 단일화를 성사시키기 위한 사전 작업에 돌입했다. 두 후보를 대상으로 한 TV토론, 후보 적합도 여론조사 등의 ‘단일화 로드맵’을 꾸려 제안한 것이다.

이는 두 후보의 단일화 논의와 별개로 당 차원에서 준비된 절차인데, 유례 없는 대선 후보 교체 가능성까지 열어둔 것으로 논란이 예상된다. 실제 당 지도부가 권한 없이 단일화를 촉구한다고 반발해온 김 후보 측은 국민일보에 “법률 대응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7일 밤 긴급 비상대책위원회와 선관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단일화 로드맵을 마련, 시행키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로드맵의 구체적인 내용은 8일 오후 6시에 유튜브를 통해 김 후보와 한 후보의 1대 1 후보 토론회를 실시하고, 이날 오후 7시부터 9일 오후 4시까지 이틀간 ‘당심 50%+민심 50% 경선룰’을 적용해 후보 선호도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당 지도부는 이런 로드맵을 앞으로 두 후보에게 제안할 예정이며, 만일 후보들이 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다른 방법은 없다고 신동욱 수석대변인이 기자들에게 밝혔다. 당 지도부는 “두 후보의 협상만 지켜볼 수는 없다”는 판단으로 이러한 계획을 마련했고, 의원총회에서도 이러한 사정을 설명했다고 한다. 김 후보와 한 후보는 앞서 이날 서울 종로구 식당에서 만나 단일화 문제를 논의했으나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헤어졌다.

로드맵은 그 자체로 강제력이 있다기보다는 권고안의 성격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당 지도부가 사실상 ‘후보 교체’ 여지를 열어둔 절차적 작업을 시작한 셈이라는 해석이 불거졌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제안이 받아들여지지 않더라도 선호도 여론조사는 그대로 진행된다”며 “양 후보의 단일화 협상이 끝내 결렬될 경우 진행된 여론조사 결과를 강제할지 여부는 당내 의견을 다시 수렴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둘 중 한 후보라도 응하지 않을 경우 TV토론은 진행될 수 없다. 하지만 여론조사를 통해 후보 선호도는 따져보겠다는 의미다. 이는 사실상 김 후보에게 단일화를 압박하는 행위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국민의힘은 전날 김 후보의 중단 요구에도 불구하고 전 당원을 대상으로 김 후보와 한 후보의 단일화 필요성 여부, 적합한 단일화 시기를 여론조사했다. 조사 결과 82.82%가 찬성했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당 지도부는 당원 대다수가 단일화를 원하며, 단일화를 통한 대선 경쟁력 확보는 곧 국민과의 약속이었다는 입장이다. 후보 등록 마감일(11일)이 다가오는 상황에서 지체할 시간이 없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다만 경선 절차로 정당의 후보를 결정한 이후에도 예외적 조치들을 거듭하며 무리한 단일화를 추진한다는 비판도 많다. 후보 결정을 둘러싼 내부 갈등 속에서 대선은 불과 26일 앞으로 다가와 있다.

의원총회에서는 당 지도부의 계획에 반대 의견을 표명하는 의원이 많았다고 한다. 윤상현 의원은 의원총회 중 기자들을 만나 “지도부가 TV토론과 여론조사로 절차를 강제하자는 안을 제시했다”며 “절차적으로 정당 민주주의에 위배된다”고 말했다. “정치적으로 풀 문제인데 법적 다툼이 되게 생겼다”고 발언한 의원도 있었다고 한다.

당 지도부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당헌 74조의 2를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상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최고위 의결로 대통령 후보자 선출에 관한 사항을 정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대선이 임박한 시점에 정당이 경선을 통과한 후보를 교체한 전례는 없다시피하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연히 법률 대응을 할 것”이라며 “당무우선권을 발동할 모든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강민 이종선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