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스텔스기에 ‘딥시크’ 활용…“中, AI로 전투기 개발 속도낸다”

입력 2025-05-04 15:16

중국이 자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를 차세대 전투기 개발에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복잡한 기술 문제를 분석·해결하는 데 AI의 거대언어모델(LLM)을 도입해 항공·우주 분야 연구개발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일 중국항공공업집단 산하 선양항공기설계연구소 수석 설계사 왕융칭의 인터뷰 내용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왕융칭은 중국 국영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개발팀이 딥시크 기술을 전투기 신기술 개발에 활용하고 있으며 AI가 반복적인 검토 작업을 대신 수행함으로써 연구 인력은 보다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왕융칭은 중국 군용기 설계의 핵심 기관인 선양항공기설계연구소에서 40년 가까이 근무한 고위급 기술자다. 그는 “AI 기술이 항공·우주 분야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법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는 “연구개발의 미래 방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계”라고 강조했다.

선양항공기설계연구소는 중국 해군 함재기 J-15,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 등을 개발해온 기관이다. 왕융칭은 현재 J-35의 파생형, 다목적형, 공중·해상 이중 운용 버전 등의 개발도 “계획대로 안정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J-35는 중국이 자체 개발 중인 5세대 스텔스 전투기로 2014년 처음 공개됐다. 2017년 실전 배치된 J-20에 이어 중국의 두 번째 5세대 전투기로 개발되고 있으며, 항공모함 탑재 등 다양한 임무 수행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