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불임 가능성이 높은 남녀를 위해 난자·정자 냉동 비용을 지원하는 신규 사업을 시작한다. 나이, 소득, 혼인 여부에 상관없이 의학적 사유로 생식세포 보존이 필요한 모든 시민이 대상이다.
부산시는 영구적 불임이 예상되는 남녀에게 생식세포(난자·정자)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하는 ‘영구 불임 예상 난자·정자 냉동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항암치료나 수술 등으로 가임력을 상실할 수 있는 시민들에게 생식세포 보존을 통해 추후 출산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 핵심이다. 대상자는 ‘모자보건법 시행령’에 따라 유착성 자궁부속기 절제술, 고환 절제, 항암치료, 염색체 이상 질환 등을 사유로 영구 불임이 의학적으로 예견된 경우 해당한다.
지원 금액은 본인 부담금의 50% 수준으로, 여성 최대 200만원, 남성 최대 30만원까지 1회 한도로 지원된다. 신청은 생식세포 채취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주소지 관할 보건소를 통해 가능하며, 다음 달부터는 공공보건 포털 ‘e보건소’에서 온라인 신청도 받을 예정이다.
시는 이번 사업 외에도 지난해부터 ‘가임력 보존 지원사업’ ‘냉동 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사업’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확대’ 등 선제적인 출산 인프라 정책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가임력 보존 지원사업은 암 등 생식기 손상 우려가 있는 기혼 여성에게 배아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로, 시는 전국 최초로 해당 조례를 제정해 시행 중이다. 냉동 난자 보조생식술은 냉동한 난자를 체외수정에 사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최대 2회, 회당 100만 원까지 지원한다. 난임부부 시술비는 기존 1인당 25회 제한에서 출산당 25회 지원으로 확대해 둘째 이상 출산 시 실질적 혜택이 커졌다.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은 “불임이 예상되지만 출산 의지가 분명한 시민들이 생식세포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해 향후 임신·출산의 기회를 지킬 수 있도록 돕겠다”며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