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기후변화 대응 신소득작물 육성계획 발표

입력 2025-05-01 13:22 수정 2025-05-01 13:24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191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는 ‘2025년 신소득작물 육성 시행계획’을 1일 발표했다.

‘기후변화 대응 신소득작물 육성 및 지원 조례’에 따라 도가 올해부터 시행하는 이 계획은 신소득작물 재배농가 실태조사 1개 사업, 신소득작물 기술 및 품종 보급(3개 사업, 9억 원), 신소득작물 안정적 생산기반 확대(5개 사업, 182억 원)로 구성됐다.

주요 사업은 만감류, 파파야, 블루베리, 키위 등 기후변화 적응 아열대 과수 재배기술 개발(5억원), 신소득작물 품목별 전문교육(34회, 1억원), 경남도 국내육성품종 종자, 종묘 보급(38ha, 3억원)이다.

또 도내 김해, 함안, 의령, 거창 등 지역 특화품목 육성단지 조성(134억원), 과수고품질시설현대화(35억원), 통영, 거제, 하동 지역 아열대 과수에 대한 기후변화 선제적 대응(3억원), 창원, 고성, 하동, 합천 만감류 특화생산단지 육성(8억원)도 추진한다.

도는 신소득 아열대 작물 재배면적을 올해 100ha까지 늘리고 2029년까지 150ha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신소득 아열대 작물 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6품목을 우선 진행하고 2029년까지 10품목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 적응에 용이하고 시장성이 있는 만감류, 애플망고 등 8품목을 지역특화 전략품목으로 지정해 육성한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기후변화와 농업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경남농업 미래 30년을 준비하기 위해 새 작물이나 재배방법을 적용한 신소득 작물 육성이 필수”라며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신소득작물의 보급·확산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