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역철도 지반침하 예방 ‘전 단계 안전대책’ 강화

입력 2025-05-01 10:01

경기도는 광역철도사업 추진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지반침하(씽크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조사·설계·시공 등 전 단계에 걸쳐 안전대책을 대폭 강화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사후 복구가 아닌, 사고 원인에 대한 정밀 조사와 사전 예방 중심의 선제적 대응을 목표로 한다. 안전대책 강화를 위해 지하수 변동, 노후 매설물, 미탐지 지중구조 등 사고의 주요 원인에 대한 정밀 조사를 확대하고, 관련 기관과 협업을 통해 전 단계에 걸쳐 안전을 확보할 방침이다.

지반침하는 주로 지하 굴착에 따른 지하수 흐름 변화, 연약 지반, 노후 상하수도관 손상 등 다양한 요인에서 발생한다. 특히 도심지에서는 여러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예측이 어려운 침하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기본계획 단계부터 수직구, 정거장, 터널 교차부 등 위험구간을 별도로 설정해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설계 단계에서는 시추조사 밀도를 높여 주요 구간의 지질 정보를 확보하고, 지하물리탐사(GPR),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 탐사 등 다양한 첨단 탐사기법을 확대 적용한다.

탐사 결과에 따라 위험구간에 대한 중첩 검사와 집중 검토 내용을 설계에 반영하며, 지하시설물에 대해서도 초기 단계부터 유관기관과 합동 점검을 실시해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시공 단계에서는 지반침하 전문가를 현장에 상시 배치하고, 위험구간에서는 굴착공사 상부에 안전요원을 배치해 실시간으로 위험에 대응한다. 또한, GPR 탐사 범위를 산지 외 전 구간까지 확대하고, 계측장비를 활용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 신속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기도는 국가시행사업인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공사’ 현장에 직접 참여해 행정안전부 등과 합동으로 건설사업자의 의무 이행과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앞으로도 도내 국가 및 민간 발주 철도사업 현장에 대한 안전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김기범 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이번 지반침하 안전대책 강화는 단순한 사후 조치가 아닌 사전예방 중심의 선제적 대응을 담고 있다”며 “전 과정에 걸쳐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철도 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