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 그룹이 상조 시장 점유율 1위 프리드라이프를 8830억원에 인수한다.
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웅진은 프리드라이프를 보유한 사모 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로부터 지분 99.77%를 인수하기 위한 주식 매매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웅진이 계약금 883억원을 먼저 낸 뒤 다음 달 말까지 잔금을 지급하면 인수가 끝난다. 웅진은 지난 2월 프리드라이프 지분 인수를 위한 배타적 우선 협상권을 받은 뒤 약 5주간 정밀 실사를 진행해왔다. 이후 VIG파트너스와 인수가와 주요 조건에 최종 합의하면서 이번 거래가 성사됐다.
웅진은 특수 목적 회사(SPC) WJ라이프홀딩스, 그 자회사 WJ라이프를 세워 프리드라이프를 품에 안는다. WJ라이프홀딩스가 자금을 조달한 뒤 WJ라이프가 프리드라이프를 인수하는 구조다. 웅진은 프리드라이프 인수 자금을 유상 증자 없이 기존 보유 자산과 발행한 영구채, 금융권 인수 금융 자금을 통해 마련한다. 프리드라이프 인수가 재무 구조를 악화시키지 않고 시장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주주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방안을 고심했다는 것이 웅진 측 설명이다.
프리드라이프는 지난해 말 기준 선수금만 2조5600억원에 이른다. 업계 2~4위인 보람상조(1조4800억원)와 교원라이프(1조3300억원), 대명스테이션(1조2600억원)보다 몸집이 한참 크다. 웅진은 계열사가 보유한 교육과 여가, 뷰티, 헬스 케어 서비스와 연계해 프리드라이프를 종합 생활 관리(Total life care) 플랫폼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앞서 웅진의 자회사 코웨이는 지난해 10월 코웨이라이프솔루션을 설립, 렌털 상조 결합 상품을 출시하며 시장에 진출한 바 있다.
프리드라이프는 2020년 VIG파트너스에 인수됐다. 이후 VIG파트너스가 보유하던 다른 상조 회사들과 합병해 지금의 규모를 갖추게 됐다. 이번 매각 대금과 인수 기간 배당금을 볼 때 VIG파트너스의 회수금은 1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VIG파트너스는 “웅진과 거래로 투자 원금의 네 배 이상을 회수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