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이 지난해 실적 신기록이 우연이 아님을 올해 1분기 입증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고 기록을 또다시 갈아치우며 천문학적인 실적 성적표가 이제는 ‘뉴노멀’임을 알렸다.
29일 크래프톤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8742억원, 영업이익 457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31.3%, 47.3%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연간 실적 신기록을 새롭게 쓴 크래프톤은 올해 1분기 들어서 바로 신기록을 경신하며 ‘뉴 레코드’ 레이스의 신호탄을 쐈다. 지난해 국내 게임 산업계에서 가장 높은 영업이익 기록을 세운 바 있는 크래프톤은 올해 자신들이 세운 기록에 다시 도전한다. 크래프톤의 경쟁상대는 크래프톤인 셈이다.
1분기 사업 부문별로는 PC 3235억원, 모바일 5324억원, 콘솔/기타 18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PC 플랫폼에서는 ‘PUBG: 배틀그라운드’ 지식재산권(IP) 중심의 콘텐츠 다양화와 강력한 라이브 서비스 운영이 1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신규 IP ‘인조이(inZOI)’의 초반 흥행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모바일 부문 역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프리미엄 아이템과 IP 컬래버레이션, 현지화 전략으로 매출 신기록에 기여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는 인도의 자동차 제조사 마힌드라 등 현지의 유명 기업과 협업해 BGMI 현지화 콘텐츠 중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크래프톤은 “1분기 역대 최대 경영실적은 펍지 IP의 프랜차이즈 확장과 ‘BIG 프랜차이즈 IP’ 확보 전략을 실행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PC 배틀그라운드는 3월 최대 동시접속자 수 140만명을 넘어서며 출시 후 7년이 넘었음에도 지속 가능한 콘텐츠로서 가치를 입증했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무료화 후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 중심의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향후 크래프톤은 아티스트 및 브랜드와 협업, 신규 맵∙모드 적용 등 콘텐츠를 고도화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배틀그라운드 IP 기반 신작으로 새로운 세대와 전 세계 시장을 아우르는 플랫폼과 장르의 확장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익스트랙션 슈팅 장르 ‘프로젝트 블랙버짓(Project Black Budget)’, 배틀로얄 콘솔 게임 ‘프로젝트 발러(Project Valor)’, 탑다운 전술 슈팅 신작 ‘PUBG: 블라인드스팟(PUBG: BLINDSPOT)’ 등이 있다.
또한 언리얼 엔진5 기반 실사 그래픽으로의 전환과 UGC(User Generated Content) 도입으로 신선한 이용 경험을 제공하고, 나아가 배틀그라운드를 ‘PUBG 2.0’ 게임플레이 플랫폼으로 발전시킨다.
지난달 28일 얼리 액세스(미리 해보기) 형태로 출시한 인조이(inZOI)는 일주일 만에 100만 장 이상 판매되며 배틀그라운드를 포함한 크래프톤의 전체 IP 중 가장 빠른 흥행 기록을 세웠다. 특히 전체 판매의 95%가량이 해외에서 발생해, 배틀그라운드에 이어 크래프톤 오리지널 IP의 해외 확장성을 꾀할 새 기반을 마련했다. 앞으로 크래프톤은 CPC(Co-Playable Character)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조이(Smart Zoi) 등 인공지능(AI) 기술 고도화로 새로운 게임성을 시장에 선보인다. 이에 더해 글로벌에서 장기 서비스 가능한 BIG 프랜차이즈 IP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신작 라인업과 인도 사업 전략
크래프톤은 신작별로 흥행에 최적화된 개발 및 퍼블리싱 전략도 세운다. 대표적으로 생존 생활 시뮬레이션 PC 게임 ‘딩컴(Dinkum)’은 지난 2월 퍼블리싱을 시작해 지원 언어를 14개로 확대하며 서비스를 강화했다. 이달 23일 정식 출시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추후 콘솔 및 스핀오프 게임 ‘딩컴 투게더(Dinkum Together)’의 출시를 통해 플랫폼과 유저 커뮤니티를 확장하고, IP 프랜차이즈의 기반을 다진다.
‘서브노티카2(Subnautica2)’는 올해 얼리 액세스로 출시 예정이다. 이용자 평가와 후기를 기민하게 반영해 나가는 커뮤니티 스노우볼(Community Snowballing) 퍼블리싱 전략을 펼쳐 나간다.
핵심 전략 국가인 인도에서는 BGMI의 견고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퍼블리셔로서 입지를 더욱 굳힌다. 다양한 협업을 추진하고 현지 이용자에게 매력적인 콘텐츠와 마케팅을 제공해 토착화를 해낸다는 계획이다. 지난달에는 노틸러스 모바일의 경영권을 확보하여 누적 다운로드 2억 5000만회,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1000만명 돌파 기록을 보유한 인도의 대표 모바일 ‘크리켓 게임 리얼 크리켓(Real Cricket)’ IP를 확보했다. 앞으로도 크래프톤은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강화해 유저 기반을 확대하고, 신작 퍼블리싱과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제 2의 BGMI’ 발굴에 나선다.
이다니엘 기자 d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