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는 29일 “유심보호 서비스의 경우 로밍 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유심 무료 교체의 경우 물리적인 재고가 수요에 비해 부족하다”며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센터 등의 개발역량을 총동원해 유심 소프트웨어 변경(가칭 ‘유심 포맷’) 방식을 개발 중”이라고 자사 홈페이지 뉴스룸을 통해 밝혔다.
SKT는 유심 포맷을 두고 “유심 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어 고객 불편 해소가 기대된다”며 “기존 유심 교체가 하드웨어적으로 새로운 유심으로 교체하는 방식인데 비해 현재 개발 중인 방식은 고객들이 보유한 기존 유심 정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유심 교체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물리적인 교체 대비 앱 재설정 및 데이터 백업 등이 수반되는 고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교체 소요 시간도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유심 교체와 마찬가지로 유심 포맷 또한 매장을 방문해야 한다는 게 SKT의 설명이다.
유심보호 서비스 이용 시 로밍서비스 이용이 어렵다는 지적도 반영해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SKT는 “로밍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동시에 해외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5월 중순에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SKT는 지난 19일 발생한 유심 해킹 사고로 ‘심 스와핑’ 우려가 제기되자 2300만 사용자의 유심을 교체해주겠다는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유심 교체를 희망하는 소비자가 몰리면서 물량 부족 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SKT가 현재 확보한 유심 물량은 100만개다. SKT는 다음달 말까지 약 500만개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