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미국의 고율 관세 조치로 인한 자동차산업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4265억원 규모의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미래 차 산업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낸다.
부산시는 29일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51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부산 자동차산업 위기 극복·미래 도약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완성차 및 부품기업,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시는 이번 전략을 통해 단기적으로 지역기업 경영 위기를 극복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차세대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자동차산업 체질 개선과 미래 차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대응 전략은 ▲유동성 지원을 통한 경영 위기 극복 ▲차세대 선도 기술 확보 및 기반 시설 구축 ▲물류 혁신 및 상생협력 강화를 3대 축으로 구성됐다.
우선, 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1000억원 규모의 시설 투자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부품기업 대상 판로 확대와 대체 부품 개발 지원을 강화한다. 또한 최근 편성된 정부 통상 추경 예산을 지역기업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미래 차 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인공지능(AI) 기반 전동화 부품, 초대형 일체화 차체 부품(자이언트 캐스팅) 개발을 지원하고, XR 기반 디지털트윈 시스템, 배터리·모터 안전성 시험센터, 사이버보안 검증센터 등 미래 차 전환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과 목적 기반 차량(PBV) 분야의 핵심 부품 개발과 실증 기반 구축도 적극 지원한다.
박동석 첨단산업국장은 비상경제대책회의 개최 결과 브리핑에서 “미래차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SDV 인캐빈 센서, PBV용 특수부품 등 전기·전자 복합 기술에 대한 연동성과 실증 검증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물류 혁신에도 속도를 낸다. AI 기반 디지털 공동 물류 플랫폼 구축,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항만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부품기업의 물류비 절감과 글로벌 확장을 지원한다. 자동차 분야 산학연관 협의체 구성과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 등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미국 현지 생산비가 한국보다 일부 낮아진 상황에 대한 업계 분석도 공유됐다. 시는 이에 따라 공급망 안정과 미래 차 중심 산업구조 전환을 동시에 추진할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대책은 관세전쟁 속 지역 기업을 보호하는 동시에 미래 차 산업으로 도약하는 출발점”이라며 “민간과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지속 가능한 자동차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