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지반침하(싱크홀)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전북특별자치도가 관련 사고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022년부터 광역도에서는 유일하게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한 정밀 지반탐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전북자치도는 2026년까지 40억6000만원을 들여 지반 탐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대상 지역은 모두 2031㎞다. 작업은 정밀 지반탐사, 노후 하수관로 정비, 대형 공사장 안전관리 강화 등 예방 중심으로 이어진다.
14개 시·군에서 32억원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해 정밀 지반탐사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도가 도비 8억1000만원을 지원한다. 도내 시·군에는 GPR 장비를 보유한 지역이 없어 전문 업체에 의뢰해 고도화된 조사를 시행 중이다.
전북자치도는 최근 3년간 모두 919㎞ 구간을 탐사해 388곳의 지하 공동(空洞)을 발견했다. 이 가운데 374곳에 대한 복구를 완료했다. 미복구 구간 14곳에 대해서도 상반기 내 정비를 마칠 계획이다.
또 전북자치도는 지반침하 주요 원인인 노후 하수관 정비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20년 이상 경과된 하수관로 3959㎞에 대해 정밀조사를 완료했다.
구조적 문제가 확인된 307㎞ 구간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91㎞ 구간은 이미 마무리했다.
특히 대도시권에서 대형 건설공사장 주변 지반침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지하 20m 이상 굴착이 이뤄지는 공사장에 대해 특별점검을 진행키로 했다. 도내 건설현장 가운데 지하안전법에 따른 점검 대상은 38곳에 해당하며, 이 가운데 굴착 깊이 지하 20m 이상 현장 7곳에 대해서는 지표투과레이더 탐사도 병행할 계획이다.
전북에서는 2019년부터 2025년 4월까지 지반침하 사고가 75건 발생했다. 전북도는 이 가운데 70.7%에 해당하는 53건이 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사고는 전주(34건·45.3%), 군산(17건·22.7%), 익산(16건·21.3%) 순으로 발생했다.
김형우 건설교통국장은 “지반침하는 예고 없이 발생해 시민 안전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만큼 사전 예방 중심의 대응이 최우선”이라며 “지속적인 지반탐사, 노후관 정비, 그리고 대형 공사장 주변 관리 강화를 통해 도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전북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