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고속도로에 ‘고라니’가 자주 출몰하는 이유는?

입력 2025-04-28 10:52
동물 찻길 사고에 고라니가 많은 이유는 상위 포식 동물 부재로 개체 수가 많고 봄이 되면 먹이 활동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한국도로공사 제공


한국도로공사는 야생동물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시기인 5~6월 고속도로 운전 시 동물찻길사고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28일 당부했다.

도로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고속도로 동물찻길사고는 총 5300건으로 이 가운데 월별로는 5~6월(1967건, 37.1%), 하루 중에는 자정~오전 8시(2351건, 44.4%)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동물찻길사고를 당하는 야생동물은 고라니(83.5%), 너구리(6.5%), 멧돼지(5.2%) 순이며 고라니가 많은 이유는 상위 포식동물 부재로 개체수가 많고 봄이 되면 먹이활동 및 새끼 양육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도로공사는 “동물찻길사고를 예방을 위해 운전자는 도로전광표지판(VMS)에 표출되는 주의 운전 문구 또는 야생동물 주의 표지판을 볼 경우, 철저한 전방주시와 규정 속도 준수 등 안전운전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운행 중 야생동물을 발견하면 핸들 및 브레이크의 급조작을 삼가는 것이 좋고 경적을 울리며 통과해 야생동물에게 음향으로 경고하고 주변의 운전자에게도 위험을 알리는 것을 권유했다. 하지만 야간 상향등은 동물의 돌발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동물과 충돌한 경우, ‘비트밖스’ 즉 후속 차량과의 2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비상등을 켜고 트렁크를 열어 사고차량임을 알리고 가드레일 밖 등 안전한 장소로 우선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로 신고하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사고 수습이 가능하다.

한국도로공사는 동물찻길사고를 줄이기 위해 매년 50㎞의 유도 울타리를 설치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 고속도로에는 총 3123㎞의 유도 울타리가 설치됐다.

또 전국 생태통로에 AI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24시간 야생동물 이동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훼손된 생태환경 복원과 야생동식물 서식지 마련을 위해 생태축 복원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동물찻길사고는 2015년 2545건 이후 매년 감소해 2024년은 783건으로 69% 이상 줄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동물찻길사고는 2차 사고에 의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고속도로 이용객의 안전과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예방시설 설치와 생태복원 사업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천=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