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 의지를 시사한 데 이어 중국도 일부 미국산 품목에 대한 125%의 추가 관세를 철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5일 CNN과 중국 현지 매체 등은 중국 당국이 공식 발표를 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산 반도체 관련 관세 면제 조치는 이미 무역현장에서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에탄과 의료 장비 등에 대한 관세 면제도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차이징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메모리칩을 제외한 미국산 반도체 8종에 대한 관세 철회 조치를 내렸다. 이미 납부한 관세도 환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수입 대행업체가 통관 과정 중 이러한 통보를 받았다면서 이같은 조치가 당국의 공식 발표 없이 조용히 이뤄졌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당국이 의료 장비와 에탄과 같은 산업용 화학제품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목에 한해 관세를 면제해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세계 최대 플라스틱 생산국인 중국의 일부 공장들은 미국산 에탄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의 병원들도 GE헬스케어와 같은 미국 기업이 생산한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장치 등의 고급 의료 장비에 기대고 있다.
아울러 중국 당국은 항공기 임대에 관한 관세 면제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기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 업체로부터 임대해 사용 중인 중국 항공사들의 재정적 부담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면제 대상 품목은 확정적인 것은 아니며, 아직 검토 단계이기 때문에 실제 면제 조치까지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 골드만삭스는 미·중 무역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될 경우 에탄 외에 액화천연가스(LPG)에 대한 관세도 면제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이번 면세 검토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145%의 추가 관세에서 일부 전자제품을 제외하기로 한 것과 유사한 조치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중 양국은 서로 100%가 넘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갈등이 고조됐다. 그러나 최근 이같은 기류에 변화가 감지된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 등 미국 측은 최근 잇달아 유화적인 메시지를 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낮출 가능성이 있냐’는 취재진 질문에 “향후 2~3주 이내에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며 “중국과도 특별한 협상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관세전쟁의 주무장관인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도 지난 23일 미·중 양국의 관세율에 대해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