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서 5·18 민주화 운동 북한 개입설에 대해 “논란이 있지만 확인하지 못했다”고 발언한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에 대해 진화위 노조가 “극우 유튜버 수준의 망언”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진실화해위지부는 25일 ‘5·18의 진실 모른다는 박선영은 즉각 사퇴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박선영은 이번 5·18 발언으로 피해자와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았다. 극우적 신념이 기관의 존폐보다 우선이라면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박 위원장과 같이 진화위 정체성을 훼손하는 인사를 방지하기 위한 법 개정도 요구했다. 노조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기본법은 왜곡된 국가폭력의 진실을 규명하고 국민 통합을 이루기 위해 제정된 것인데, 박 위원장 등은 그동안 과거사를 부정하고 진실규명 결정을 취소하는 등 위원회의 정체성을 훼손했다”면서 “다시는 이런 인사들이 진화위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국회에 과거사정리법 개정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5·18 발언에 대한 사과의 뜻도 밝혔다. 노조는 “진화위원장이 국가공권력의 부당한 행사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위로해 주어야 하는데, 자신의 극우적 신념을 알리는 것이 기관의 존폐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한 사람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진화위 소속 직원으로서 위원장을 대신해 피해자와 유족, 국민에게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박 위원장은 전날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 회의 현안질의에서 ‘5·18 북한군 개입설에 대한 진화위원장의 인식’을 묻는 질문에 “논란은 있지만 확인하지 못했다”고 답했고, 이어 “논란이 있다는 사실은 알지만, 그 사실은 모른다”고 답했다.
이후 신정훈 행안위원장이 “최소한의 역사 인식에 대한 기본이 갖춰지지 않아 여기 계실 자격이 없다”며 퇴장을 명령했지만, 박 위원장은 “모르니까 모른다는데 뭐가 문제냐”며 퇴장에 응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한때 회의가 중단되고, 소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윤예솔 기자 pinetree2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