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의 2월 원화대출 연체율이 6년 3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얼어붙은 내수와 대외여건 악화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이 25일 발표한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8%로 전월 말 대비 0.05% 포인트 올랐다. 2018년 11월(0.60%) 이후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2월과 비교해도 0.07% 포인트 올랐다.
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000억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연체채권 정리 규모도 1조8000억원으로 8000억원 늘었다. 그럼에도 연체율은 1월에 이어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금감원은 중소기업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한 데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2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68%로 전월 말 대비 0.07% 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0%로 1월말(0.05%)보다 0.05% 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4%로 0.07% 포인트 올랐다. 특히 중소법인의 경우 연체율이 0.90%로 전달 대비 0.08% 포인트 올랐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 역시 1월보다 0.06% 포인트 오른 0.76%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 말과 동일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전월 말 수준을 유지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9%로 0.05% 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 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 하겠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