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30일 지나면 모두 유급”…교육부는 의대생에 막판 대화 요청

입력 2025-04-25 00:01
서울의 한 의과 대학에서 학생들이 이동하는 모습. 윤웅 기자

전국 의대 학장들이 학교마다 달랐던 유급 시한을 오는 30일로 동일하게 맞추고 복귀하지 않는 의대생은 유급 처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번 유급 조치는 본과 4학년뿐만 아니라 등록 후 수업 거부 중인 예과와 본과 전 학년에 적용한다. 의대 학장들은 유급되는 의대생은 구제하지 않는다는 기존 원칙도 재확인했다. 교육부는 유급 처분이 이루어지기 전 최대한 복귀를 설득하기 위해 의대생 대표들에게 간담회를 요청했다.

24일 대학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학장들의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지난 22일 오후 정례 화상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의대 학장들은 유급 확정을 마친 일부 의대를 제외한 대부분 의대에서 오는 30일까지 수업 복귀하지 않는 예과·본과 의대생을 대상으로 유급 처분을 내리기로 합의했다. 회의 직후 KAMC는 이 같은 방침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한 의대 학장은 이날 국민일보에 “오는 30일 유급을 마무리 지어야 이후 여름방학에 계절학기를 활용한 보충 수업이 가능하고, 수업에 복귀한 24학번과 25학번 분리 수업도 가능하다고 판단했다”며 “이후 유급 처분은 되돌릴 수 없다. 학생들에게 주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도 “(학칙상) 30일 이후 유급은 ‘실질적으로’ 확정된다”고 말했다.

앞서 KAMC는 전국 의대 32곳에서 본과 4학년의 유급 처분이 오는 30일까지 순차적으로 마무리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학장단 합의로 사실상 유급 시한이 전체 의대생에게 확대 적용되는 것이다. 지난 16일 기준 예과 1~2학년의 수업 참여율은 22.2%로 본과 1~4학년(29%)보다 낮은 상황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예과생들은 의대 증원의 여파를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본과생보다 수업 거부에 적극적이다.

대규모 유급 사태가 임박했지만 대한의사협회는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의협은 의·정 사태에서 앞에서 끌고 가면서 무언가를 결정하고 따르라고 하는 위치에 있지 않다. 의대생 각자의 판단을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의대생과의 대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 오전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명의로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와 전국 40곳 의대 학생회에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 등을 주제로 한 대면 간담회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유급 처분이 현실화하기 전 마지막으로 의대생들을 만나 복귀를 설득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