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이 6월3일 치러질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인구 감소와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대한민국 교육 대전환 정책과제를 24일 발표했다.
학령인구 급감과 지역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역의 현실을 반영해 대입제도부터 교원정책, 교육복지, 글로컬 인재 육성까지 교육정책 전반에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남도교육청은 이날 오전 기획조정회의를 갖고 이같은 내용의 대한민국 교육 대전환을 위한 5대 정책과제를 확정, 21대 대선에 출마할 후보와 각 정당에 제안하기로 했다.
첫번째 정책 과제는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대입제도 개선과 대학 체제 개편이다. 과도한 입시 경쟁을 완화하고 지역 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막기 위해 교육재정 균등 분배를 통한 지역 거점 국립대학을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교원 기초정원제 도입과 지역 맞춤형 교원 양성과 교육 기본권 확대를 위한 학생교육수당 전국 확대도 제안했다.
K-에듀센터 설립안도 제시했다. K-에듀는 지역 고유의 특성과 세계적인 교육 기술을 결합해 전남을 글로컬 교육의 중심지로 만들 수 있는 핵심 전략이다. 글로컬 인재 양성을 위한 국제직업고등학교 설립도 제안했다.
김대중(사진) 전남도교육감은 “지금은 대전환 시대이며, 이 전환의 중심에는 반드시 교육이 있어야 한다”며 “전남에서 시작한 글로컬 교육이 대한민국 전체로 퍼져 나갈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결단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