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 대선 후보에 건의할 1호 공약으로 청주공항 완성을 꼽았다.
도는 21대 대선 지역공약 9개 과제 125개 세부사업을 확정했다고 24일 밝혔다.
도가 각 정당 대선 후보에 건의한 첫 번째 공약은 청주공항 완성이다.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과 청주공항 특별법 제정, 청주공항 자유경제구역 조성을 담고 있다.
또 글로벌 수준의 오송 K-바이오스퀘어 조기 완공, 중부내륙특별법 전면 개정, AI·양자·방사광가속기 등 반도체·이차전지 사업의 고도화, 상수원보호구역 규제완화 시범지구 지정 등이 대선 공약 건의 과제에 포함됐다.
도는 연평균 12.1%씩 증가하는 이용객을 수용하고 장래 항공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청주공항의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신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는 청주공항 민간 활주로 신설 추진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안으로 가칭 청주공항 특별법을 발의할 계획이다.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와 국가 재정 지원 등이 담긴 특별법을 제정하면 관련 사업 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도는 지난달 국토교통부의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0년)에 이 사업 반영을 요청했다.
청주공항은 연간 활주로 이용 횟수가 14만1000회에 불과하고 이 중 민간 항공 사용률은 46%에 그친다. 활주로 길이(2744m)도 대형 항공기 운항에 적합하지 않지만 민군 공동 사용으로 연장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열악한 여건에도 이용객은 계속해서 증가해 올해 500만 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청주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458만명으로 2018년보다 86% 증가했고, 국제선 이용객(147만 명)은 같은 기간 362% 늘었다.
국내 항공 물류 99.5%가 인천국제공항에 몰린 포화 상태에서 청주공항을 항공 물류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방무 충북도 기획조정실장은 “충북만을 위한 사업이 아니라 국가적 시점에서 우리나라에 필요하고 대한민국의 신경제축인 중부내륙 시대를 여는 마중물이 될 대선 공약 과제를 확정했다”며 “충북의 미래 100년 먹거리 사업을 추진하고 추진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현안 사업들이 대선 공약에 반영돼야하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