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잠정 중단됐던 ‘채상병 사건 외압 의혹’ 수사를 사실상 재개했다. 사건 관계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은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을 위해 8개월 만에 공수처에 출석한다. 다시 수사에 나선 공수처가 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의 실체를 밝혀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는 23일 오전 9시쯤 임 전 사단장을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한다. 임 전 사단장이 포렌식 참관을 위해 공수처에 나오는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8개월여 만이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해병대와 국방부 등을 압수수색해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를 확보했다. 하지만 휴대전화 잠금을 해제하지 못했다. 임 전 사단장은 지난해 7월 국회에서 “(비밀번호를 공수처에) 알려줄 의사가 있는데 기억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공수처는 자체적으로 일부 자료를 복원했고, 경찰에 포렌식 작업을 의뢰해 이달 중순쯤 돌려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임 전 사단장이 참관한 가운데 디지털 증거 중 채상병 사건 관련 부분을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채상병 사건 외압 의혹’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임 전 사단장 등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 윤 전 대통령 등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내용이다.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 등을 참고인 조사하는 등 수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비상계엄 사태 발생 후 공수처 수사 인력 전원을 계엄 수사에 투입했다. 공수처는 당분간 계엄 사건과 채상병 사건 수사를 병행할 계획이다. 기존 수사팀이었던 수사3부(부장검사 이대환)가 수사를 이어가기로 했다. 공수처 관계자는 “박 대령 1심 선고도 나왔고 조사를 안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계엄 수사가 어느 정도 진행됐다고 판단되면 그 단계에서 채상병 수사도 같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