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외교정책협회(FPA)가 수여하는 메달을 받은 후 만찬사에서 “중앙은행 총재로서 침묵할 수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대통령 탄핵이 조기 대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재정정책에 대한 양당의 견해가 상반된 가운데 재정부양책을 언급할 경우 정치적 편향으로 비칠 수 있었다”면서도 “계엄사태 이후 내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위축되고 있었다. 금리 인하와 함께 어느 정도 추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국가신용등급을 지키기 위한 추경 제안이었다는 게 이 총재의 설명이다. 그는 “추경안이 초당적으로 통과된다면 한국의 경제정책만큼은 정치적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메시지를 국제 투자자들에게 줄 수 있어 국가신용등급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국내 정치 상황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데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작년 말 계엄령 선포 이후 고조된 정치적 불확실성이 그간 대외환경 변화로 인한 어려움을 한층 가중해 왔다”고 표현했다.
최근 세계 경제가 직면한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수출 중심 구조를 가진 우리 경제는 대외환경 변화에 특히 취약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이 총재가 수여한 외교정책협회 메달은 국제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책임감 있는 리더십을 보여준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장클로드 트리셰 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폴 볼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등이 역대 수상자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