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지역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 확산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여러 산업에 접목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바우처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천시와 인천테크노파크가 함께 추진 중인 ‘2025년 인천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려는 지역 내 중소기업과 관련 기술을 보유한 공급 기업을 연계해 설루션 도입 및 서비스 활용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게 목적이다. 수요기업당 최대 500만원씩 총 25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도입 비용이 지원된다.
시가 인천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 기업들의 블록체인 도입 의향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501개 기업 중 336개(67.1%)가 도입 의사를 보였다. 주요 희망 분야는 반도체(30.1%), 디지털·데이터(20.5%), 뷰티(10.4%), 식품·유통(9.2%) 등으로 조사됐다.
블록체인 도입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위변조가 불가능해 신뢰성이 높아진다’라는 응답이 63.1%로 가장 많았고 ‘투명성 확보’와 ‘공급망 관리 절차 간소화’가 각각 39.3%로 뒤를 이었다. 또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인건비 지원(44.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연구개발(R&D) 투자 지원(43.5%)과 기술개발 자금 지원(40.1%) 순으로 파악됐다.
시는 23일 전문가 평가를 통해 공급 기업을 선정하고 다음 달 8일 인천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에서 도입 희망 의사가 있는 지역 중소기업에게 설루션 및 서비스를 소개하는 ‘블록체인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를 열 예정이다. 희망하는 블록체인 설루션 또는 서비스가 있는 수요기업은 다음 달 9일부터 비즈오케이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접수 가능하다.
이남주 시 미래산업국장은 “블록체인 도입 과정에서 기술적·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들에게 이번 사업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인천의 산업 전반에 블록체인 기술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